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농작물 수확 후 보관 문제를 통한 식량 위기 극복

  • 등록일2023-01-18
  • 조회수2896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농작물 수확 후 보관 문제를 통한 식량 위기 극복

 

◈ 목차

1. 개요

2. 식량 손실의 원인

2.1. 환경의 변화

2.2. 새로운 곡물 손실 방지 방법의 제시

3. 결론

References


 

◈본문

1. 개요

식품값이 치솟고 있다이는 단순히 유가의 인상이나 우크라이나전 등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한 문제가 아니라 오랜 기간의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의 부진이 자리 잡고 있어 문제 해결이 쉽지 않아 보인다더욱이 지구 전체 인구는 2050년까지 100억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이로 인해 2010년을 기준으로 할 때 56퍼센트의 식량 증가가 요구된다그러나 극한의 기후변화토양의 양분 부족해충의 증가작황 가능한 토지의 부족 등으로 인한 전체적인 수확량의 감소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이에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앞으로도 지속적인 식량 부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식품 가격의 상승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사실상 전 세계적으로 이미 20~30퍼센트 이상 식료품값 인상이 이루어지고 있다따라서 이미 수확된 작물을 변질의 우려 없이 신선하게 보관하여 손실을 최소화하고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오래 보관하는 것 역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이에 수확한 작황의 변질에 대한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식량 손실의 원인

2.1. 환경의 변화

우리나라의 경우, 1950년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기근에 시달렸으나 이제는 오히려 식품이 포화 상태가 되고 버리는 음식물이 문제가 되는 시기에 봉착했다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지구상에서 약 10명 중 1명은 식량 부족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최근 한 연구에 의하면 매년 33퍼센트에서 40퍼센트에 이르는 식량이 소실되거나 낭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인간에 의해 소비되지 못하고 낭비되는 식량의 양은 거의 절반에 가까우며이는 가격으로 환산하면 약 6,000억 달러에 이르고이는 작물이 수확되는 작황지에서나 수확 직후 농장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이러한 식량 손실을 줄이는 것은 식량 증산을 위해 연구하는 것보다 어쩌면 더 중요한 일일 수도 있다고 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