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기후영향 선제적 대응 기술개발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등록일2023-01-20
- 조회수2949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3-01-12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기후기술법#기후변화 대응#COP26#IPCC#UNEP
- 첨부파일
기후영향 선제적 대응 기술개발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동향분석
제3장 적응 기술개발의 목표 및 전략수립
제4장 전략수립
제5장 결론 및 제언
◈본문
제1장 서론
제1절 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 수많은 연구가 기후 및 환경위기의 가속화를 가리키며 위기감이 조성
- 이러한 위기의 가속화는 경제성장의 둔화와 더불어 사회 전반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함
-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는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현재 추세로는 21세기 말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3도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함
- 많은 전문가들은 산업화·도시화·무분별한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위협받고 코로나19와 같은 인수공통전염병 확산으로 인류의 건강 역시 크게 위협받을 것으로 우려됨
- IPCC(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영향력이 현재 전 지구적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재난·재해, 물 부족, 빈곤 등으로 지역별로 상이하게 발생함을 지적함
∘ 이에 국제사회는 IPCC는 특별보고서에서 지구온난화 1.5℃ 채택에 따른 탄소중립 전략을 선포하는 대담한 결정
- 2020년 10월에는 VIP 탄소중립선언을 하고 같은 해 12월에는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 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를 발표함
- 기후변화 글로벌 규제강화 및 경영활동 변화에 따라 글로벌 경제질서가 변화함을 시사하며, 친환경 시장 성장에 따른 주요국의 신시장 선점을 위한 투자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는 의의가 있음
- 이 전략에 따르면 전 지구의 이산화탄소 순배출량을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최소 45%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2050년에는 넷제로(Net Zero) 상태까지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대한민국 역시 기후변화의 극심한 부정적 영향을 겪고 있으며, 국제사회의 기후 변화 적응에 대한 강조에 발맞춰 관련 논의를 심도있게 진행중
- 이는 2016년 11월 파리협정 발효로 인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은 감축 및 적응의 의무를 부담해야 한다고 명시함
- 또한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의 영향 완화 및 전 지구적 도전을 기회로 삼아, 적응 정책 및 기술에 대한 수요에 부응해야 함
- 현재 대한민국은 기후영향 최소화 및 국민생활 보호를 위해 적응 정책을 수립하고 의무화하여 추진중임
- 보다 효율적인 정책 수립과 시행을 위해 기후변화 적응 관련 기술 및 국가 R&D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시점인 만큼 본 연구의 역할이 중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차세대 백신기술 동향
-
다음글
- 오가노이드, ‘미니장기’를 넘어 ‘인공장기’로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