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나노인사이트 36호]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안전성과 ESG
- 등록일2023-01-26
- 조회수2896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23-01-10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ESG#포스트코로나#나노소재#데이터스테이션
[나노인사이트 36호]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안전성과 ESG
◈ 목차
Nano Message
인터뷰
나노 대·중·소기업 상생의 네트워크
:홍순국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이사장)
Nano Story
칼럼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안전성과 ESG
:송경석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바이오본부 본부장)
이슈 앤 이슈
2022년 대한민국 10대 나노 기술
:왕건욱 (나노기술연구협의회 위원
고려대학교 융합에너지공학과, KU-KIST 융합대학원 부교수)
특집
국가 소재데이터 스테이션 구축 및 향후 발전방향
:허용학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소재연구데이터센터 센터장)
Nanu Future
뉴스
에세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나노기술
:김민재 (과학 칼럼니스트)
나노기관 소개
새로운 나노소재를 활용한 혁신 제품창출,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
:황영근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 원장
◈본문
나노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안전성과 ESG
나노 안전성 평가는 나노기술을 활용한 물질 및 제품의 전 주기를 대상으로 보건 및 환경 안전성을 평가하고, 설계 단계에서부터 안전성이 확보된 제품을 생산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ESG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 관점에서 볼 때 나노 기술 관련 기업의 활동은 모든 영역에 해당하지만, 본 지면에서는 나노 안전성이 강조되고 있는 나노 환경 분야에 대한 규제대응과 발전방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나노 안전성 평가는 최근 전 세계에서 강조되고 있는 환경, 사회, 기업 지배구조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과도 맞닿아 있는 가치로서, 생산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나노제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강조되고 있다.
ESG 경영은 최근 EU를 중심으로 법제화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선도적으로 규제를 도입하고 있다. ESG 법제화는 새로운 형태의 무역기술 장벽이 되고, 특히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규제를 도입하는 근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기업들이 협력업체 전체를 대상으로 ESG 경영을 확산시키고 있는 상황으로, 수출을 주요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이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융합기술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나노제품 생산 기업도 예외일 수 없으며, 글로벌 규제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안전성 평가 자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나노물질 유해성 평가, 나노제품 전 주기 인벤토리 구축 등이 탄소발자국 산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