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신약개발 Global Trend 분석-ADC(Antibody Drug Conjugates) 치료제
- 등록일2023-01-27
- 조회수4380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3-01-16
-
출처
국가신약개발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ADC 치료제#혈액암#페이로드#링커
신약개발 Global Trend 분석-ADC(Antibody Drug Conjugates) 치료제
◈ 목차
⑴ 서론
⑵ ADC 구성요소(항체, 링커, 페이로드)별 특징 및 종류, 글로벌 기술이전
⑶ Reference
◈본문
ADC는 항체, 링커, 페이로드로 구성되며 최적의 ADC 치료제는 체내 혈액에서 순환 시 혈류에서는 약물이 안정하면서 표적 세포 내에서 절단되어 페이로드를 방출한다. 각 요소는 ADC의 효능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ADC 개발에서는 표적 항원, 항체, 링커, 페이로드 및 접합 방법의 선택을 포함하여 모든 핵심 구성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종양 표적 항원과 ADC 간의 특이적 결합에는 항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항체는 표적세포로 페이로드를 절단하는 전달자 역할을 하며, 효율적인 세포 내재화를 촉진하고 낮은 면역원성과 긴 혈장 반감기를 가져야 한다. 승인된 ADC 약물의 표저 항원은 고형암의 경우 HER2, TROP2, Nectin-4, EGFR, 혈액암의 경우 CD19, CD22, CD33, CD30, BCMA, CD79b가 있다. 대표적인 HER2 타겟 ADC 치료제로는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의 엔허투(Enhertu, trastuzumab deruxtecan)가 있으며, Trop2 타겟은 길리어드의 트로델비(Trodelvy, Sacituzumab govitecan), CD19 타겟 치료제로는 ADC 테라퓨틱스의 진론타(Zynlonta, loncastuximab tesirine)가 있다.
ADC의 링커는 항체와 페이로드를 화학적으로 연결하며 ADC의 안정성 및 페이로드의 방출과 관련된 핵심 요소로 ADC의 궁극적인 치료 지수를 결정한다. 링커는 ADC 응집을 유도하지 않아야 하며 혈장에서 페이로드의 조기 방출을 억제하고 원하는 표적 부위에서 활성 약물 방출을 촉진하여야 한다. 초기 ADC 링커는 불안정하고, 비특이적인 결합을 하였으나 점차 안정성이 개선되고 위치 특이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링커는 절단 가능한 링커와 절단 불가능한 링커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현재 혈액 내에서 안정적으로 순환하며, 종양 부위에서 정밀하게 제어되면서 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링커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
- 특허동향 [제9호 BIO-IP 이슈페이퍼] ADC 치료제, 바이오파운드리, 바이오 투자환경과 특허전략 2023-12-15
- 기술동향 ESMO 2023 빅파마 주요 ADC 발표 결과 2023-11-22
- 산업동향 [KBIOIS 브리프 Vol.60] 글로벌 ADC(Antibody Drug Conjugate) 승인 및 개발 현황 2023-09-04
- 기술동향 신약개발 Global Trend 분석-ADC(Antibody Drug Conjugates) 치료제 2022-12-20
- 기술동향 KEIT PD 이슈리포트 2020-10월호 : 포커싱이슈1(잔존 혈액암세포 검사용 혈구 분석시스템 개발) 202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