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BCH브리핑] 유전자가위기술과 농식품 시스템 관련 FAO 보고서 분석[1부] (2023-2)
- 등록일2023-01-30
- 조회수3009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3-01-19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가위#FAO#CRISPR
[KBCH브리핑] 유전자가위기술과 농식품 시스템 관련 FAO 보고서 분석[1부] (2023-2)
◈ 목차
1. 보고서 발간 배경
2. 보고서 주요 내용
3. 시사점
◈본문
1. 보고서 발간 배경
□ 농식품 시스템의 변화 필요
ㅇ 식량문제는 지구온난화, 극단적 기후변화, 농지와 수자원 감소, 지역 분쟁, 전염병, 인구 통계학적 변화가 주요 원인
ㅇ 식량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과 기술의 역할은 매우 중요함
- CRISPR을 포함한 유전자가위기술은 농업 생산 측면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며, 식량과 농식품 수요 증가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됨
ㅇ FAO 보고서에는 유전자가위기술과 농식품 시스템에 대한 균형 있는 논의를 위해 유전자가위 기술과 연관된 아래 내용이 제공됨
- 기아, 보건, 식품안전, 환경, 동물복지, 사회‧경제적 효과, 이익 분배 등에 미치는 영향
- 윤리적 우려, 거버넌스와 규제 이슈
-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고유한 역할 및 파트너십 등
2. 보고서 주요 내용
□ 유전자가위기술의 장점
ㅇ 식물·동물은 자연적 돌연변이 및 자연적 선택을 통해 진화되어 옴
ㅇ 지난 100여 년 간 유전학과 통계학은 지식기반 과학적 육종을 발전시킴
- 과학적 육종은 제품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정확성 향상을 가져옴
ㅇ 특히, 유전자가위기술은 농작물 육종과 가축 사육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 시킨 가장 최신의 육종기술로 평가받고 있음
□ 유전자가위기술의 잠재적 위험, 이익 그리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
ㅇ 유전자가위기술은 식품 안전, 영양 및 환경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안전문제도 함께 고려하여야 함
ㅇ 신제품 상용화 前 잠재적 위험 식별과 위험 평가는 대중 우려 완화 및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용을 보장하는 것임
ㅇ 유전자가위기술에 대한 사회·윤리적 우려는 과학자·개발자에 대한 대중의 신뢰, 위험과 이익 분배에 대한 우려, 문화적 가치 등의 영향을 받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