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데이터 보안'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
- 등록일2023-02-27
- 조회수3489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02-20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보안'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
◈ 목차
I. 연구 배경
II. 연구 절차
III.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
Ⅰ 연구 배경
■ 사회 각 분야의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기반 에너지전환, 감염병 확산에 따른 비대면 시대 확산 등 급격한 기술변화 추세 및 기술패권경쟁 등으로 미래 대내외 환경의 불확실성 심화
○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지속적이고 주도적인 성장을 위해 우리나라도 미래사회 변화를 예측하고 과학기술 자체의 발전을 견인하는 독자적인 혁신(Breakthrough) 기술을 선점하여 확보하는 것이 필요
○ 혁신(Breakthrough) 기술 선정을 통해 현재 우리 사회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슈와 과학기술의 미래 방향성 제시 필요
■ 디지털 전환 시대에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에 따른 데이터의 보안 및 보호 관련 가능한 이슈를 전망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음
○ 디지털 전환과 기술 융합이 가속화되며 새로운 유형의 보안 위협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고, 경제・정치・군사적 목적의 해킹 증가, 데이터 위변조 및 오남용 위험 증가
○ 디지털 전환의 핵심은 데이터 기술력으로 IDC(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에 따르면, 오는 2025년에는 163ZB의 데이터가 생성될 것으로 예상
■ KISTEP은 2009년부터 매년 10대 유망기술을 선정
○ 미래유망기술 선정 연구는 기관 고유 업무로 기술 추격국에서 벗어나 기술 선도국으로 진입하는 단계에서 우리만의 미래유망기술 선정 및 제시에 의의가 있으며, KISTEP의 기술예측 역량 제고를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
○ KISTEP의 10대 미래유망기술은 국내 주요 기관에서 발표하는 미래유망기술 중 인지도 및 활용도가 가장 높으며 미래사회 대비와 전략 수립에 활용
※ 미래유망기술 정보는 ‘신규 R&D사업 및 과제 기획을 위한 아이디어 발굴’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미래유망기술 정의 및 설명, 관련 사회・경제적 이슈, 기술 동향, 단계별 세부기술, 당면 과제 등 기술기획을 위한 내용 제시
Ⅱ 연구 절차 및 세부내용
■ 2022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주제(이슈)는 ‘데이터 보안 시대’로 선정되었으며, 문헌조사, 설문조사,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10대 유망기술을 최종 선정
○ (STEP 1 – 미래이슈 선정) 국내외 문헌조사 및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통해 미래 이슈 후보군을 발굴하고, 미래예측 전문가 및 KISTEP 정책고객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확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