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합성생물학을 기반으로 멸종 조류 ‘도도’ 복원 프로젝트 추진 외
- 등록일2023-03-07
- 조회수3144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물공학
-
자료발간일
2023-03-07
-
출처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원문링크
-
키워드
#합성생물학
- 첨부파일
합성생물학을 기반으로 멸종 조류 ‘도도’ 복원 프로젝트 추진 외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3년 2월호
◈ 목차
01 언론 모니터링
① 합성생물학을 기반으로 멸종 조류 ‘도도’ 복원 프로젝트 추진
② 미생물이 기계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③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 생산에서의 합성생물학의 잠재력
02 주요 정보/지식
제15차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총회 합성생물학 의제 논의 결과
◈본문
01 언론 모니터링
① 합성생물학을 기반으로 멸종 조류 ‘도도’ 복원 프로젝트 추진
◎ 美 베스 샤피로 캘리포니아대학 생태·진화생물학 교수 연구팀과 생명과학 스타트업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의 연구진은 도도새 복원 프로젝트 진행 중
- 덴마크 자연사박물관에서 찾은 도도새 표본에서 추출한 DNA를 이용하여 유전자(DNA) 염기서열 분석과 DNA 편집 기술, 합성생물학을 기반으로 도도새의 게놈 서열 분석을 성공
◎ 도도새는 무게가 20㎏을 넘고 몸집이 커서 날지 못하여 신비의 새로 불렸으며, 인도양 모리셔스에 서식하며 인간에게 처음 발견된 지 약 100년 만인 1681년을 마지막으로 멸종
◎ 도도새 복원에 성공하면 인류가 멸종시킨 동물을 되살린 첫 사례가 되며, 이미 지구상에서 사라졌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 보존을 위한 신기원이 열릴 전망
-마이크 맥그루 영국 에든버러대학 수석 강사는 도도새 복원을 두고 ‘합성생물학을위한 달 착륙’이라 밝힘
◎ 하지만, 일부에서는 멸종 동물을 복원하기보다는 멸종 위기 동식물을 보호하는 게 더 필요하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하며, 유전자 편집기술로 복원된 도도새는 실제 멸종된 도도새와 유전학적으로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하지만, 연구팀은 도도새 복원 연구를 통해서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복구하는 것이 목표라며 멸종 동물 복원 연구 자체에 의미가 있음을 시사
출처 : 한국일보, 23.02.01, 어린이동아, 23.02.08.
② 미생물이 기계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 분자·세포 및 시스템 생물학의 발전으로 연구에서 설계 및 엔지니어링으로 바이오 연구의 초점이 전환되어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 생성이 가능
- 기업은 미생물을 활용하여 세포 단위에서의 다양한 제조가 가능해지고, 인간이 소비하는 모든 것을 생산하는 새로운 방법이 제공되기 시작
◎ 합성생물학은 전 제조 산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향후 10년 내에 전 세계 제조생산의 1/3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 (Boston Consulting Group, ’22.3)
- 현재 합성생물학 시장은 약 100억 달러이며, 향후 5년 안에 300억 달러 전망 인공지능(AI)은 합성생물학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를 가속화하고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한 적절한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
- 이러한 프로세스는 제약 및 식품 산업을 넘어, 건강, 미용, 의료기기 및 전자제품 등의 기존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화학, 섬유, 패션 등의 산업은 비용 측면에서의 경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
- 장기적으로는 광업, 전기 및 건설과 같은 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비용편익분석: '합성생물학 개발·실험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2024-10-07
- BioINwatch 합성생물학과 생체전자공학이 융합한 Living drug 2024-07-0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