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APIS: 한국이 주도하는 아·태 감염병 연구 허브 외

  • 등록일2023-03-20
  • 조회수2956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APIS: 한국이 주도하는 아·태 감염병 연구 허브 외

과학과기술 2023년 02월호 vol.645

 

◈ 목차

Opinion

과기정론


People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


Special Featues 한국의 국방 R&D

우리나라 국방 R&D의 패러다임 혁신을 바란다

첨단 과학기술로 무장한다

대한민국 방산 경쟁국들의 국방 R&D

무기체계 개발의 기초국방기술R&D

미국 국방 R&D 생태계에서 배울 점

미국의 국방 R&D와 협력연구동맹 사례

 

Special Featues Ⅱ 국제공동연구의 세계

과학기술과 국제공동연구

예미랩 지하 1,000m에 마련된 협력의 터전

ITER : 인류 최대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APIS : 한국이 주도하는 아-태 감염병 연구 허브

DataON: 연구 데이터의 바다

연구안보와 국제공동연구의 균형 맞추기

 

Focus

전창립의 Science in Art

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달은 봤다군사용 위성도 우리 손으로

2023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인 신년인사회

 

Columns

정책시론

현장탐방

음식문화와 과학기술

쇼과학 다루기

장홍제의 화학예찬

조동찬의 건강 이야기

북핵 문제의 과학적 탐구

 

News & Topics

해외 News

과학기술계 News 


 

◈본문

인간의 역사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인간은 역사에서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헤겔의 말처럼 우리는 숱한 감염병의 반복에도 코로나19의 습격을 예상하지 못했다눈에 보이지도 않는 이 작은 바이러스는 전 지구적 공포의 대상이 되며인류의 패러다임을 바꿔놓았다그리고 아주 중요한 화두를 하나 던졌다. ‘감염병에 함께 대응하기 위한 국제협력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인가?’이다.

 

왜 아시아에 감염병 허브가 필요한가

국가 간 감염병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코로나19와 같은 펜데믹 발생 시 공동으로 대처한다라는 대전제를 거부할 나라는 없어 보인다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오랜 기간 노력했지만 실질적인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국가 이기주의부터 현실적으로 발생하는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까지 협력의 장벽이 높기 때문이다특히 감염병이라는 주제는 왜 발생하지도 않은 미지의 감염병X를 위해 국가 자원을 투입해 협력해야 하는지 국민을 납득시키거나 지지를 얻기 어렵다.

 

굵직한 감염병들을 떠올려보면지카와 에볼라를 제외한 대부분 감염병이 아시아 지역으로부터 시작된 것을 알 수 있다이번 코로나19를 비롯해 사스메르스홍콩 독감 등이 아시아에서 출발했고오래전 맹위를 떨쳤던 흑사병도 최근 과학적 데이터 분석 결과 중국이나 인도에서 기원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왜 하필 아시아에서 많은 감염병특히 대유행 가능성이 있는 병원균의 창궐이 자주 발생하는 걸까?

 

아시아의 특수성

인류 4대 문명 중 하나인 양쯔강 문명의 발상지인 아시아는 날씨가 따듯하고 강을 중심으로 농업이 일찍부터 발달한 지역이다남쪽의 아열대 기후로 나무와 식물이 잘 자라고다양한 동물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 때문에 아시아에서는 일찍부터 야생동물의 가축화가 이루어졌다다시 말하면아시아는 인수공통감염병이 발생하기 좋은 천혜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

산업혁명 이전에는 실크로드를 제외하면 대륙 간 이동 자체가 쉽지 않았다인간 간의 감염이 일어나더라도 대륙 수준에서의 확산 정도였고그마저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그라들었다그러나 1920년대 후반 군용 비행기의 좌석을 개조해 미국에서 중남미로 날아간 팬암기를 시작으로 하루면 전 세계 어디에도 갈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