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인공지능 챗봇(ChatGPT)의 가능성과 한계

  • 등록일2023-03-31
  • 조회수3197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인공지능 챗봇(ChatGPT)의 가능성과 한계


◈ 목차

1. 들어가기

2. ChatGPT 소개

3. ChatGPT를 활용한 과제 제안요청서 작성

4. 가능성과 한계점

  

 

◈본문

1. 들어가기

 

최근 인공지능 챗봇, ChatGPT의 인기가 가히 돌풍이다. ChatGPT는 22년 11월 30일에 공개되었는데불과 2개월만에 월간 사용자 수(MAU, Monthly Active Users)가 1억명을 넘길 정도로 대중의 관심이 뜨겁다이러한 월간 사용자 수 증가는 구글번역기(78개월), 인스타그램(30개월), 틱톡(9개월등 다른 서비스가 1억명을 돌파하는데 소요된 기간과 비교하면 매우 짧은 기간내 도달한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ChatGPT를 활용하거나적용한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 22년 12월 미국 노스웨스턴대 캐서린 가오 박사 연구진은 ChatGPT에게 세계적인 의학 학술지를 참조하여 논문 초록 50편를 작성하게 하였다이를 실제 연구자들이 쓴 초록과 함께 전문 프로그램으로 표절 검사를 하였으며의학 전문가들에게는 AI 제작물 여부를 심사하게 하였다.

표절 검사는 모두 통과되었고, AI 제작물 여부 심사는 68%가 통과되었다이는 ChatGPT가 표절하지 않았으며, 3분의 2는 기계가 아닌 전문가 같이 작성한 것으로 평가한 것이다또한 영국 맨체스터대 간호학과 시오반 오코너 교수는 국제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에 ChatGPT를 공동 교신저자로 등재하였다이외에도 미국명문 MBA 와튼스쿨 시험에서 B학점을 받는 등 화제와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해외 과학기술분야에서 초록 및 논문 작성 등 ChatGPT를 활발히 활용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본 고에서 R&D사업의 과제기획 업무에 활용 가능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연구개발 과제의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를 ChatGPT를 이용하여 작성해 보고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그 한계와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ChatGPT 소개

ChatGPT(Generative Pre-trained Tramsformer)는 OpenAI가 개발한 인공지능 챗봇이다먼저 ChatGPT 명명의 의미를 살펴보면Chat은 Chatting을 의미한다텍스트를 읽고 요약하고 다음에 나올 단어를 예측할 수 있는 GPT-3.5 언어모델2)을 이용하여 인간의 일상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다.

G(Generative)는 딥러닝을 통해 스스로 언어를 생성하는 능력을 갖추었다는 의미이다기존에 AI는 미리 만들어 놓은 몇 가지 답을 조합하여 결과를 내 놓았다면, ChatGPT는 다양한 질문에 자연적이고 논리적이며 상세한 답을 할 수 있다.

P(Pre-trained)는 사전에 이루어진 학습에 기반하여 답을 생성한다는 의미이다대화 과정에서 얻은 정보나 콘텐츠는 ChatGPT에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대화의 숨은 맥락을 파악하고 이전의 질문과 대화를 활용한 답변은 가능하다.

ChatGPT는 2021년까지의 데이터를 학습한 정보를 바탕으로 응답한다최신정보(22년 이후)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 정확히 답하지 못하는 이유이다2). GPT-3.5 업그레이드 언어모델을 사용하는 MS의 빙(Bing) 챗봇의 경우 1시간 전 데이터 까지 학습을 하며곧 일반 공개가 예정된 구글의 바드(BARD)는 실시간 데이터까지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실시간 데이터 학습에 대한 요구는 해결 될 것으로 기대된다.

T(Tramsformer)는 딥러닝 모델 아키텍처를 말하는데 언어 번역언어 생성 및 질의응답과 같은 자연어 처리 작업에 널리 사용되는 강력한 모델이다. ChatGPT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머 아키텍처는 언어 생성 작업에 특별히 최적화된 모델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