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21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피인용 현황
- 등록일2023-04-05
- 조회수3554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03-2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논문 #국내 논문
- 첨부파일
2021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피인용 현황
◈ 목차
1. 개요
2. 국가별 SCI 논문 발표 현황
3. 한국의 SCI 논문 발표 현황
4. 국가별 SCI 논문 피인용 현황
5. 한국의 SCI 논문 피인용 및 분야별 현황
◈본문
[요약 및 시사점]
▶ ’21년 SCI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국가는 중국이며, 국가별 전체 논문 수의 18.7%를 차지
∙ 중국은 논문 발표 수가 전년 대비 15.6% 증가하여 ’20년에 이어 2년 연속 1위국을 차지하였으며, 미국(’21년 15.2%) 과의 격차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
▶ ’21년 한국의 발표 논문 수 순위는 12위로 전년 대비 8.9% 증가한 83,680편(’20년 76,822편)
∙ ’21년 한국은 세계 총 논문(각 국가별 논문 수 합)의 2.4%를 점유하였으며, ’16년부터 논문 점유율이 감소하다가 ’21년에 반등
∙ 한국은 ’21년 인구 만 명당 16.2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순위는 27위(’21년 기준 2천 편 이상 논문을 발표한 국가 77개국 기준)
▶ ’21년 총 피인용 횟수는 중국이 1,387,605회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미국(1,141,763회, 2위), 영국(463,918회, 3위), 독일(346,349회, 4위), 이탈리아(276,091회, 5위) 순임
∙ 최근 5년간(2017년∼2021년) 피인용 횟수는 미국이 25,523,154회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중국(22,489,966회), 영국(8,801,580회), 독일(7,089,374회), 호주(4,854,064회) 순
∙ 한국은 ’21년 총 피인용 횟수가 169,443회로 12위를 기록
▶ 최근 5년 주기(’17년∼’21년) 기준 논문 1편당 피인용 횟수 세계 평균은 7.7회이며, 싱가포르가 14.9회로 편당 피인용 횟수가 가장 높음
∙ 뒤를 이어 스위스 13.4회(2위), 홍콩 13.4회(3위), 덴마크 12.7회(4위), 네덜란드 12.6회(5위) 순
∙ 한국의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는 8.5회로 33위를 기록
▶ ’21년 한국은 총 22개 학문분야 중 7개 분야에서 논문 수 상위 10위권이며, 22개 분야 모두 상위 20위권
∙ 상위 10위권 학문분야는 재료과학(4위), 공학(5위), 화학(6위), 컴퓨터과학(8위), 물리학(10위), 생물학/생화학(10위), 약리학/독성학(10위) ∙ 약리학/독성학, 우주과학, 컴퓨터과학, 생물학/생화학 분야가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가 세계 논문 대비 높은 수준
▶ 한국의 논문 수와 5년 주기별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는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나, 순위는 유사
∙ 전반적인 수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상대 순위가 상승하지 않는다는 것은 한국보다 상위권 국가들 역시 관련 수치들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거나 격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
∙ 상위 30개 국가의 GDP 수준과 논문 수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상황에서 순위 상승을 위해서는 유사한 GDP 수준 국가들보다 더 높은 논문 생산성을 지닐 때 순위 상승 가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