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생명연, "2023년 바이오미래유망기술" 발표 외

  • 등록일2023-04-05
  • 조회수4285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03-31
  • 출처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명연#바이오미래유망기술
  • 첨부파일

 

 

생명연, "2023년 바이오미래유망기술" 발표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3년 3월호

 

◈ 목차

01 언론 모니터링

02 주요 정보/지식

 

 

◈본문

① 생명연, “2023년 바이오미래유망기술” 발표

◎ 생명연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의 미래기술 선점을 위한 바이오 분야 10대 미래유망기술 발표

플랫폼 바이오(기초기반), 레드바이오(보건의료), 그린바이오(바이오농업), 화이트바이오(바이오화학환경)분야의 10대 바이오미래유망기술 발굴

선정 객관성과 정확성을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데이터분석본부와의협력을 통해 머신러닝을 통한 이슈 키워드 분석 기법인 위크시그널(Weak Signal) 활용

◎ 합성생물학에 의해 재설계된 생합성 경로를 미생물에 구현하여 천연물질화학합성대체물질 및 유용 단백질을 생산하는 합성생물학 적용 미생물공장이 10대 미래유망기술로 선정

이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목표물질 생산 효율을 높이고다수의 대사반응 조합으로 복잡한 물질도 생산할 수 있어 바이오제조 역량 구축에 기여할 것을 예상


② 중국, 44개 기술 중 37개 기술에서 세계 우위 선점

◎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향후 혁신 성장을 확보할 수 있는 주요 44개 기술 중 37개 기술에서 중국이 우위를 선점했다고 발표

미국 국무부의 지원으로 1여 년 간 진행된 해당 연구는 각 기술의 논문 수와피인용지수를 분석해서 결과를 도출

◎ 중국은 대다수의 기술 분야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며일부 기술에서는 2위 국가보다 5배 이상의 영향력을 행사

기술별 상위 10대 연구기관도 중국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2위 국가인 미국에 비해 전반적으로 9배 더 영향력 있는 논문을 생성하고 있음을 반증특히 중국과학원은 44개 기술 중 많은 부분에서 상위권을 차지

◎ 미국의 경우 중국을 이어대부분의 기술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특히 백신양자컴퓨팅고성능 컴퓨팅 기술에서 선두

영국과 인도는 미국에 이어 44개 기술 중 29개 기술에서 상위 5개국에 속하며한국은 20개 기술독일은 17개 기술에서 상위 5개국에 포함

◎ 44개 기술 외 현재 존재하지 않는 미래 기술에서도 중국이 월등할 것으로 예상하며특정 핵심 기술에 대해서는 글로벌 공급을 장악할 것으로 전망

◎ 이러한 핵심 기술 연구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국제 협력, R&D, 인력산업 등 다양한 영역에 투자를 확대하고 효과적인 전략 수립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