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생물다양성협약(CBD) 합성생물학 온라인포럼 정리 및 검토
- 등록일2023-04-21
- 조회수3056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물공학
-
자료발간일
2023-04-13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물다양성협약#CBD#합성생물학
생물다양성협약(CBD) 합성생물학 온라인포럼 정리 및 검토
◈ 목차
1. 검토배경
2. 주요 검토 내용
3. 시사점
◈본문
2023년 3월 20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된 생물다양성협약(CBD) 합성생물학 온라인포럼 논의 내용을 정리 및 검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음
※ 주요 출처: CBD 합성생물학 홈페이지1)
작성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우태민 박사
1. 검토배경
□ 2022년 12월 개최된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서는 합성생물학 의제에 대해 [참고]와 같은 작업을 시작하는 것으로 합의하였음
[참고] 합성생물학 논의 절차(결정문 15/31)
① 합성생물학에 대한 정보 제출(진행중)
② 개방형 온라인포럼을 통한 논의(‘23.3.20~3.31)
③ MTEG* 회의 (‘24년까지 최소 한 번)
④ MTEG의 결과물에 대한 동료평가(peer-review)
⑤ 제26차 과학기술자문기구(SBSTTA)에 상정하여 검토 (‘24년 예정)
* 다학제 특별기술전문가그룹(multidisciplinary Ad Hoc Technical Expert Group)
□ [참고]의 작업 중, 합성생물학에 대한 온라인포럼이 2023년 3월 20일부터3월 31일까지 진행되었음
ㅇ 사무국은 당사국, 비당사국, 토착민 및 지역커뮤니티(IPLC), 관련기관에 온라인포럼 전문가 추천을 요청하였으며, 당사국에서 142명, 비당사국에서 3명, 단체에서 66명이 추천되어 총 211명이전문가로 추천되었음2)
- 국내에서는 학계, 연구계 전문가 3명이 참여하였음
ㅇ 온라인포럼 질문은 두 가지 토픽에 대해 총 5개 질문이 제시되었으며, 총 답변 수는 209개임(표 1 참고)
2. 주요 검토 내용
□ (토픽 1, 질문 1) 적용 사례 및 출시까지 걸리는 기간
ㅇ 가까운 미래에 적용이 가능한 사례로는 바이오연료, 천연제품 대체등과같은 바이오 기반 제조, 미생물 설계, 유전자편집 작물, 유전자 드라이브, RNAi 기술, 자가확산백신 등이 제시되었음
- 이러한 사례들은 2022년 발간된 CBD Technical Series No. 100에서이미 식별된 사례들과 일치함4)
- 다만,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일부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사용 증가, 바이오센서, 인공유전체 분야의 발전에 주목함
- 이러한 적용 사례들이 실제 상용화되기까지 걸리는 기간에 대해 제시한 답변은 매우 적음
ㅇ 이외에도 연구개발 트렌드와 관련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됨
- (예측가능성) 사전예방적 관점에서 시장 출시 시점의 예측이 어렵다는 입장과 개발경로 등 명확한 신호가 있으며 예측이 가능하다는 입장이 대립함
- (규제환경의 중요성) 개발이 거의 완료된 것과 실제 상업화되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지침과 규정의 조정 없이는 상업화가쉽게 실현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22년 젠더혁신 관점에서의 합성생물학 기술영향평가
-
다음글
- 「OECD Science, Technology, Innovation Outlook 2023」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