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22년 젠더혁신 관점에서의 합성생물학 기술영향평가
- 등록일2023-04-24
- 조회수2986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물공학
-
자료발간일
2023-02-22
-
출처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젠더혁신 #합성생물학
- 첨부파일
2022년 젠더혁신 관점에서의 합성생물학 기술영향평가
-2022년 젠더혁신 관점에서의 기술영향평가 (합성생물학) 연구 보고서 발췌-
◈ 목차
1. 젠더혁신 관점에서의 합성생물학 평가개요
2. 합성생물학 기술 설명
3. 젠더혁신 관점에서의 합성생물학 기술 및 적용 분야
4. 젠더혁신 관점에서의 합성생물학 기술영향평가 결과
5. 마무리
◈본문
01 젠더혁신 관점에서의 합성생물학 평가개요
합성생물학은 기존 생명체를 공학적으로 활용하거나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생물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술로, 환경, 의약, 식품, 에너지,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최근 보고된 합성생물학의 주요 활용 분야 및 경제적 가치를 조사한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합성생물학은 약 400개의 잠재적 활용 부문이 있고, 2030~2040년 사이 한 해 3조 6000억 달러 규모의 가치를 가진 것’으로 보았다1). 해당 기술의 상업성과 가치를 고려해 볼 때, 다양한 측면에서의 ‘기술영향평가’가 중요하며 특히 인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약, 환경, 식품 분야는 성별 특성 요소 고려가 필수적인 사항으로 논의되고 있다2-3). 만약 성별 특성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기술 및 의약품, 식품 등이 상업화된다면, 성별에 의한 효율성, 부작용 등을 예측할 수 없어 잠재적으로 사회적 위험성이 상당히 높아질 것이다. 최근 코로나로 인한 감염병 및 백신, 면역 반응에 대한 대중의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젠더혁신 관점에서의 합성생물학 기술영향평가는 그만큼 의미가 크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2021년「과학기술기본법 제14조 (기술영향평가 및 기술수준평가) 3항」 기술영향평가 및 수준평가 시 필요하다면 성별 등 특성을 반드시 고려하도록 법을 개정하였고, 이에 따라 2022년 기술영향평가 주제로 선정된 합성생물학에 대하여 정책, 기술, 윤리, 대중 인식 분야의 전문가들과 젠더혁신 관점에서의 합성생물학을 평가하였다.
02 합성생물학 기술 설명
합성생물학은 다양한 생명체의 생물학적 기능 및 구성요소를 공학적으로 활용하여 특정 기능을 편집/재설계하여 새로운 생물 시스템을 합성하는 기술로, 유전학, 분자생물학, 시스템 생물학, 바이오인포메틱스 등의 총체적인 생물학적 지식과 함께 데이터 처리 기능, 인공지능 등의 기술이 융합된 첨단 바이오 기술이다.
인간게놈프로젝트(1990-2003)*, 인간게놈합성프로젝트(2016-2025)**로 인한 유전자의 이해 및 편집, 재조합 기술 발전, 정보의 축적은 생물의 기능 및 효율성을 체계적으로 분석/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의 향상과 함께 바이오파운드리(Biofoundry)4)***의 기반을 다졌다. 바이오파운드리는 로봇과 인공 지능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 첨단기술로서 DNA 조립에서부터 세포 개량까지의 복잡한 과정을 ‘설계-합성-테스트-학습(Design-Build-Test-Learn, DBTL)5) 반복’을 통한 빠른 순환 공정으로 구현하여 기존의 합성생물학의 불확실성과 낮은 생산성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바이오 제조공정의 속도와 규모, 생산 효율 향상을 가능하게 했다. 예측을 통한 제품의 효율성 분석과 가상 실험이 합성생물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인간의 모든 유전자 정보를 축적, **유용한 생물학적 기능을 설계/ 합성, ***산업응용 가능성이 큰 합성생물학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인공지능 및 첨단 기계공학을 이용한 합성생물학 자동화 시스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