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보건복지 분야 디지털 기술의 현재 및 미래 수준 인식

  • 등록일2023-05-26
  • 조회수3198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3-05-01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 디지털#보건복지
  • 첨부파일

 

 

보건복지 분야 디지털 기술의 현재 및 미래 수준 인식

보건복지포럼 제 319호

 

◈ 목차

들어가며

보건복지 분야 디지털 기술의 현재 및 미래 수준 진단 전문가 조사 결과

조사 개요

조사 결과

나가며


 

 

◈본문

코로나19 이후의 주요 사회 변화를 살펴보면 비대면 및 원격 문화 확산으로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었으며바이오 분야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코로나19 이후 나타난 거대한 환경 변화와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자 하는 과학기술 정책이 발표되기도 하였다.

디지털 기술은 시대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다이 글에서는 보건복지 분야의 정책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술 적용 수준 및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보건복지 분야 및 과학기술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보건복지 분야 디지털 기술의 현 수준과 미래의 중요도에 대해 전문가들의 체감 양상은 핵심 추진 과제별로 다르게 나타났다하지만 전반적으로 디지털 기술의 적용에서 현 수준에 비해 미래의 중요도를 더 높게 체감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들어가며

 

코로나19 이후의 주요 사회 변화를 살펴보면 비대면 및 원격 문화 확산으로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었으며바이오 분야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코로나19 이후 거대한 환경 변화와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자 하는 과학기술 정책이 발표되기도 하였다.

디지털 기술은 개념적으로 숫자로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고 전송하는 장치를 연구개발하는 것에 관한 기술을 의미(rybxvzxm258, 2017)하는데시대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다코로나19 이전의 기술이 시장과 사회 변화를 주도하고 시장 창출 및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활용되었다면코로나19 이후의 기술은 시대적 요구가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있으며 비대면 사회위험 대비 등의 목적성을 띠고 있다.

현 정부에서는 120대 국정 과제를 선정하여 과제별 담당 부처를 지정하였는데보건복지부 주관 과제는 10개이다특히 보건복지부 주관 과제 중 디지털 기술 관련 국정 과제는 돌봄과 바이오헬스 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 정책 의제로서의 중요성도 이미 강조되고 있다돌봄과 바이오헬스 분야의 국정 과제에서는 각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의 활용확산기반 조성 및 촉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25번 국정 과제는 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중심 국가 도약으로 디지털헬스 분야에서의 맞춤형 의료·건강정보 제공 및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의료 마이데이터 등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보건의료 빅데이터 구축 및 개방바이오 디지털 활용 인공지능 개발 등 데이터 기반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정밀의료를 촉진하는 것도 주요 내용이다. 45번 국정 과제는 ‘100세 시대 일자리·건강·돌봄 체계 강화, 4차 산업혁명 기반의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돌봄 확산 기반 조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세부적으로는 활동 감지 센서 및 AI-IoT 기반의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돌봄안전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또한 고령친화산업과 연계하여 돌봄 로봇 등 복지 기술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복지관·요양시설 등을 리빙랩으로 지정하는 등 돌봄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