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디지털트윈 기반 아쿠아팜 동향 및 발전 방향

  • 등록일2023-06-08
  • 조회수3490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23-06-01
  • 출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트윈 #아쿠아팜
  • 첨부파일

 

 

디지털트윈 기반 아쿠아팜 동향 및 발전 방향

Status and Development of Aquafarm based on Digital Twin

 

◈ 목차

서론

1. 국내·외 스마트양식 시장 현황

2. 수산 빅데이터 및 IoT 센서 시장

3. 스마트양식의 주요 이슈

··수산 분야 디지털트윈

1. ··수산 분야 디지털트윈 필요성

2. ··수산 분야 디지털트윈 사례

디지털트윈 기반 아쿠아팜

1. 디지털트윈 기반 아쿠아팜 서비스

2. 디지털트윈 기반 아쿠아팜의 표준화 현황

3. 디지털트윈 기반 아쿠아팜의 발전 방향

결론


 

 

◈본문

ABSTRACT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seafood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aquaculture, the industry has continuously grown. On the other hand, digital twins have been actively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Aquaculture deals with live aquatic animals that are sensitive to growth environment management. Hence, applying a digital twin to smart aquaculture may lead to a substantial economic benefit because it enables the optimization of different variables. We analyze the status of digital twin development in agriculture. The services of the aquafarm digital twin are divided into 1) data management, 2) optimization, and 3) intelligence. Standardization related to the aquafarm digital twin is also discussed. Based on the analyses, the development stage of aquafarm digital twin is defined, and directions of technology development are suggested.

 

 

서론

1. 국내·외 스마트양식 시장 현황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및 수산자원 감소수산업 종사자의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감소에너지비용 증가에 따른 어가 경영악화와 환경오염(해양쓰레기방사능 오염수 등)이 세계적으로 관심사가 되고 있으며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인공지능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을 활용하여 직면한 문제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스마트양식이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세계 스마트양식 시장은 지속해서 성장할 전망이며, Vantage Market Research(2023)는 세계 스마트양식 시장의 가치를 2022년 2,896억 달러로 평가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5.5%의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으로 4,212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한다[1]. 이러한 원동력으로는 세계 수산물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수산업에서의 기술 고도화를 꼽을 수 있으며기술 개발 및 고도화가 산업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개선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우리나라의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58.4kg으로 주요국 중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다[2]. 이러한 결과양식어업의 면적은 2018년 총 161,320ha로 2010년 141,015ha에 비하여 면적은 14.4% 증가하였다그러나국내의 양식어가수는 2018년 15,323호로 2010년 17,386호에 비해 약 19% 감소하여 어가의 기업·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3].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또한 세계적인 시류와 맞추어 과거 노동집약적인 양식 방법을 기술집약적 양식 방법으로 개선하여 양식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환경적 영향으로부터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관리하는 동시에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산···정이 노력하고 있다특히해양수산부는 4단계에 걸쳐서 스마트양식 기술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을 공표하며, 2019년 기준 약 2.5%인 스마트양식 보급률을 스마트양식 활성화를 통해 2030년 약 5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수립하고 있다[4]. 또한국내의 뛰어난 ICT 기술을 활용하여 국내 양식기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도약시키기 위하여 스마트양식산업 육성을 위한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2019년부터 고성군부산시강원도신안군포항시 등 6곳이 선정되어 진행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