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메타버스 생성 AI엔진을 달다
- 등록일2023-06-16
- 조회수2964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06-15
-
출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원문링크
-
키워드
#메타버스 #생성 AI
- 첨부파일
메타버스 생성 AI엔진을 달다
SW중심사회 2023년 6월호
◈ 목차
이슈 ISSUE
메타버스 생성 AI엔진을 달다
칼럼 COLUMN
디지털 심화시대 소프트웨어 기초체력 강화에서 답을 찾다
포토에세이 PHOTO ESSAY
포토에세이 6월
포커스 FOCUS
미·중 AI 기술 경쟁 양상과 블록화 전망
생성형 AI 모델의 법적 쟁점
초거대·생성 AI의 국내외 현황과 이슈
◈본문
메타버스, 생성 AI 엔진을 달다
Executive Summary
생성 AI(Generative AI)가 경제·사회의 판도를 바꾸는 동인(動因)으로 부상하고 있다. 생성 AI는 AI가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한 후 사용자의 프롬프트(prompt)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악 등 다양한 디지털 재화를 생성하는 기술로 빠르게 시장을 형성 중이다. AI는 메타버스 구현에 핵심 역할을 하는바, 본고에서는 최근 주목받는 생성 AI와 메타버스의 융합으로 생기는 3대 변화 방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했다.
먼저 생성 AI로 메타버스의 제작 방식이 진화하고 있다. 사용자가 프롬프트(Prompt)를 입력해 자신이 원하는 메타버스를 스스로 만드는(Text to Metaverse) 다양한 생성 AI 도구가 등장하고 산업 메타버스, 게임 개발 등에 활용되던 게임엔진에 생성 AI가 적용되고 있다. 또한, 2D 이미지를 3D로 변환하거나(Image to 3D), 프롬프트 입력을 통해 원하는 3D 객체를 생성하는(Text to 3D) 도구가 등장해, 과거보다 쉽고 빠르게 메타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두 번째로, 생성 AI로 상호작용 방식이 진화하고 있다. 생성 AI를 활용해 누구나 쉽고 빠르게 다양한 가상 인간을 제작하는 환경이 조성 중이며, 챗GPT와의 연동으로 아바타, NPC(Non-Player Character)와의 상호작용 구현이 가능해졌다. 이에 생성 AI를 활용해 현실과 가상 간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사례가 확산 중이며, 생성 AI와 로봇과의 결합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셋째, 가치 창출 방식이 진화하고 있다. 생성 AI를 활용해 아바타, IP(Intellectual Property)에 새로운 생명력이 부여되면서 혁신 BM(Business Model)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 생성 AI로 메타버스 크리에이터 2.0 시대가 도래하면서, 많은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상상력을 메타버스에 구현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여건이 조성되고 있으며 생성 AI와 메타버스의 결합으로 일하는 방식도 진화하며 생산성이 제고될 전망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생성 AI가 메타버스 제작, 상호작용, 가치 창출 방식의 변화를 주도하는 엔진 역할을 하며 메타버스 생태계의 진화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기업은 생성 AI와 메타버스를 결합한 혁신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 생산성 향상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며 개인은 생성 AI와 메타버스로 야기되는 ‘신 크리에이터 경제’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 정부는 생성 AI로 야기될 다양한 위험에 주목하고 생성 AI와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공·사회 혁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