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건강한 노화를 위한 식단 조절
- 등록일2023-06-22
- 조회수3582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자료발간일
2023-06-20
-
출처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 원문링크
-
키워드
#식단 조절#노화
건강한 노화를 위한 식단 조절
◈ 목차
1. 서론
2. 주요 내용
2.1. 노화의 세포 및 분자 기전: 영양 및 식단에 의한 조절
2.2.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요인
2.3. 노인을 위한 적절한 수분 공급
2.4. 건강한 노화를 목표로 하는 식단
2.5. 심혈관질환 예방과 관련된 영양 및 식이요법
2.6. 건강한 뇌 노화를 위한 영양 및 다이어트
3. 결론
◈본문
요약문
식단이 노화 과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노화 관련 질병의 발달을 조절한다는 연구 결과가 점점 늘고 있다. 따라서 영양과 노화 관련 질병의 관계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노화의 세포 및 분자 기전 조절에서 영양 요인의 역할과 노화 질병 발생에 대한 예방의 역할에 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활발한 연구를 통하여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 퇴행성신경질환, 인지장애 및 치매의 발병은 노화 방지 작용을 하는 특정 식이요법으로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고, 식단에 의한 이러한 질병 보호의 효과는 유익한 거대 영양소(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및 미량 영양소(비타민, 미네랄) 구성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 균형 잡힌 식단은 특정 질병의 발병을 예방하고 노화 과정 자체를 개선함으로써 건강한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금식 요소를 이러한 식단에 통합한다면 이러한 역할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진행 중인 임상연구 등을 토대로 가까운 장래에 노인을 위한 새로운 영양 지침이 새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1. 서론
세계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는 가장 큰 도전 과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유럽 인구의 약 9%가 65세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2050 년까지 25%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1]. 청력 감소 또는 상실, 시력 저하와 같은 감각 쇠퇴, 심혈관질환, 당뇨병, 우울증, 치매, 근감소증, 보행 및 균형 이상,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같은 질병이 동반되며 과체중, 비만, 대사증후군 등 잘못된 식습관과 관련된 질병 등도 60세 이상의 인구 75%가 영향을 받고 있다[24]. 전임상연구를 통하여 칼로리 섭취뿐만 아니라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함량과 같은 식단의 여러 구성 요소가 노화 과정과 수명을 조절하고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 치매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칼로리 섭취 제한을 선호하는 식이요법은 노화 및 관련된 질병을 발생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인구의 증가로 질병 및 치료 지출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한 노년을 위한 증거 기반 예방 정책 및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사회 보건 및 연금 시스템의 미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건강한 식단은 만성질환의 발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노화를 촉진하는 데 필수적이다[2].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노화 시계(aging clock)를 늦추는 당뇨병 치료제 2024-10-10
- BioINwatch 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2024-05-09
- BioINpro [면역제어 기술]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2023-11-21
- BioINwatch 생식 노화를 복구하는 천연 폴리아민, 스페르미딘(spermidine) 2023-11-09
- BioINwatch 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2023-09-1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