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리포트] 불치성 골수암의 전이를 방지할 수 있는 RNA 나노입자 치료제 외..

  • 등록일2023-06-28
  • 조회수3203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3-06-27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글로벌#나노기술#불치성골수암#RNA나노입자 치료제
  • 첨부파일

 

 

 불치성 골수암의 전이를 방지할 수 있는 RNA 나노입자 치료제 외..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동향리포트]

 

◈ 목차

1. 미국

- 표면부착형 나노구조 분자 보호층을 통한 폴리머 전자소자 내환경안정성 및 신축성 개선

- 불치성 골수암의 전이를 방지할 수 있는 RNA 나노입자 치료제

- 화학물질 제조 시 폐기물 대폭 저감이 가능한 첨단 분자압착 기술 개발

2. EU

- 유럽의회, 지속가능한 배터리법 승인

- 소결공정 없는 3D 프린팅으로 구현되는 유리의 나노구조

- 질병을 빠르게 검출하는 나노포어 개발

3. 중국

- 항암치료 효과 개선을 위한 멜라닌/망간산화물 하이브리드 나노입자 개발

- 활성 미토콘드리아 표적 암치료를 위한 자가구동형 금속-유기 프레임 나노로봇 개발

- 수계 전지 성능 향상을 위한 항팽창 나노셀룰로오스 분리막 개발

4. 일본

- 통합 이노베이션 전략 2023 내각 결정

-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로 3D 프린터 전용 재료 개발

- 탄소섬유강화폴리머의 굽힘 진동 발전・축전으로 센서 정보를 무선 송신

5. 국내

- 과기정통부, 미래 디스플레이 민・관 협의체 출범

- 바텍, 디지털 엑스레이용 탄소나노튜브 5만대 양산

- POSTECH, 리튬이온 배터리 용량과 충전 속도 개선

- 충남대, Pd 나노입자 기반 광열변환 소재의 친환경적 합성법 개발

- KBSI-건국대 공동 연구팀, 파킨슨병 유발 물질 제어기술 개발

- KIST-KAIST 공동 연구팀, 수소연료전지 수명 관련 촉매 안정성을 계산하는 모델 개발

- 성균관대, 재사용이 가능한 상변화물질 기반 고성능 열계면소재 개발

- 한양대, 다기능성 광열치료 나노입자 개발

- 가톨릭대, DNA 나노구조체로 인체조직 재생기술 개발

- KIMS, 차세대 웨어러블 엣지 뉴로모픽 컴퓨팅 반도체 소자 개발

- KAIST,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스마트섬유센서 개발

- DGIST-(주)엠에스웨이-한국공대 공동 연구팀, 필름 조명 신기술 개발

- 연세대, 자가치유 가능한 역동적 나노구획구조의 하이드로겔 소재 개발

6. 기타

- 가뭄 스트레스 상태의 카놀라 식물에서 철 나노입자의 석신산 탈수소효소 활성 조절 효과

- 개별 분자 제어를 통한 정밀감지 기술 개발

 

◈본문

1. 미국

 - 불치성 골수암의 전이를 방지할 수 있는 RNA 나노입자 치료제

    RNA nanoparticle therapy stops the spread of incurable bone marrow cancer


불치성 골수암의 전이를 방지할 수 있는 RNA 나노입자 치료제


● 미국 Michael Mitchell 교수(University of Pennsylvania) 연구팀은 RNA 간섭효과를 통해 혈관 내 암세포 유인성 단백질(cyclophilin A, CyPA)의 과발현을 억제해 다발성골수종의 전이 및 변이를 막을 수 있는 RNA 나노입자 치료제를 개발

●  연구팀은 siRNA를 골수 내피세포에 효과적으로 투여할 수 있도록 기존의 지질 나노입자를 바탕으로 첨단 하이브리드(지질-폴리머) 나노입자를 설계했으며, in-vitro 시험과 생쥐 시험을 통해 암세포 전이 방지, 암종 크기 감소, 생존율 개선, 화학요법 내성 저감 등의 효과를 확인

●  해당 RNA 나노입자 치료제는 화학요법 내성이 생긴 중증 다발성골수종 환자의 치료 및 예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다발성골수종 이외에도 CyPA 과발현에 의해 혈류전이되는 암을 대상으로도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PNAS (2023.06.13.), In vivo bone marrow microenvironment siRNA delivery using lipid–polymer nanoparticles for multiple myeloma therapy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