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생성형 AI의 경제적 영향 검토 (McKinsey, 6.14)

  • 등록일2023-07-21
  • 조회수3636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생성형 AI의 경제적 영향 검토 (McKinsey, 6.14)

 

 

◈본문

◎ 컨설팅 기업 맥킨지는 비즈니스 측면에서 생성형 AI가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 가치와 잠재력을 검토

※ 이번 보고서는 '생성형 AI'를 기초 모델(Foundation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정의

 - 63개의 사용 사례를 분석한 결과 생성형 AI는 연간 2조 6,000억 ~ 4조 4,000억 달러에* 이르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

 * '21년 영국의 총 GDP 3조 1,000억 달러에 비견되는 수치


■ 주요 생성형 AI 출시 현황 

주요 생성형 AI 출시 현황


◎ 생성형 AI는 산업 전반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고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은행, 첨단 기술, 생명과학 부문이 수익적으로 가장 큰 편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생성형 AI가 완전히 도입될 경우, ▲(은행 업계) 매년 2,000억 ~ 3,400억 달러 ▲(소매 및 소비재) 4,000억 ~ 6,600억 달러의 추가 가치 창출 예상

 - 자동화를 통한 노동 생산성 향상, 작업자 역량 강화, 업무 구조 변혁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 보유

 ※ 생성형 AI를 통해 현 근로자 투입 작업 시간의 60~70%에 해당하는 업무를 자동화하고, '40년까지 매년 0.1~0.6%의 노동 생산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

 - 생성형 AI 사용 사례 중 약 75%는 ①︎ 고객 서비스 ②︎ 마케팅 및 영업 ③︎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④︎ 연구▪︎개발(R&D)의 네 가지 영역에 집중

 ※ 고객과의 상호 작용 지원, 마케팅 및 영업을 위한 창의적인 콘텐츠 생성, 자연어 프롬프트 기반의 컴퓨터 코드 초안 작성 등의 기능이 주로 활용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