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중저선량을 이용한 비암성 난치 질환 치료기술 연구 체계 개발
- 등록일2023-09-01
- 조회수2525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3-09-01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중저선량#방사선 치료#생체영향
중저선량을 이용한 비암성 난치 질환 치료기술 연구 체계 개발
◈ 목차
요약문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필요성
제2장 연구개발과제의 목표
제3장 연구방법 및 결과
제4장 결론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본문
요 약 문
Ⅰ. 제 목: 중저선량 (intermediate radiation dose)을 이용한 비암성 난치 질환 치료기술 연구 체계 개발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암 치료에 국한된 방사선 치료 영역을 난치성 비암성 질환으로 확대하여 노령화 사회의 국민보건과 건강을 증대하고 국민 의료비 절감에 따른 사회 경제적 이득을 고취를 위한 중저선량 방사선 의료기술의 종합적 연구체계개발
◯︎치매, 골관절염, 폐렴 등 암 이외의 다양한 난치질환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과학적 근거 마련 및 전임상/임상연구 R&D 추진 방법론 마련
◯︎ 고령화로 인한 노인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대에도 불구하고 오직 비특이적 약물과 수술에만 의존하는 난치성 질환인 치매, 골관절염, 만성 염증 질환에 획기적인 대안 치료 방법 획득을 위한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확보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중저선량 방사선치료 가능 질환별 전임상 연구 체계 분석
●︎질환별 (뇌질환, 관절염, 폐렴등) 전임상 동물모델 분석
●︎ 질환별 중저선량 전임상 방사선 치료 사례기반 선량 조사 및 분석
●︎ 중저선량 방사선의 질환별 전임상 치료 효과 분석 방법론 분석
✔︎ 질환별 중저선량 방사선 특이적 치료 타겟/기전 제시를 포함한 중저선량 방사선 생물학적 기전 분석 방법론 분석
✔︎ 고선량과 중저선량 방사선 생체영향 분석 방법론
□ 중저선량 방사선 위해성 평가 방법론 도출
●︎ 장기 (organ)별 중저선량 방사선 위해성 평가 방법론 분석
●︎중저선량 특이적 위해성 평가 방법론 분석
Ⅳ. 연구개발 결과
●︎ 중저선량 방사선의 임상적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정책과제로 뇌질환, 관절염 및 폐질환에 대한 연구현황, 특허현황 및 산업현황에 대한 분석을 진행
●︎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진행되어야할 RFP를 제안
●︎ 도출과정에 전문가 설문조사, 국내외 논문현황분석 (2010년 이후), 및 특허/산업계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 결과를 공청회 및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공정성을 확보
●︎ 또한 위해도/독성에 대한 분석을 따로 진행함으로써 중저선량 방사선 치료시 나타날 수 있는 독성/부작용에 대한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
●︎ 위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내용은
✔︎ 중저선량 방사선치료 가능 질환별 전임상 연구 체계 도출을 위해 질환 (뇌질환, 관절염, 폐렴을 포함한 폐질환등) 도출
✔︎ 각 질환별 전임상 동물모델 제시, 각 질환별 중저선량 전임상 방사선 치료 사례기반 선량 조사 및 분석하여 각 질환별 최적의 선량 제시
✔︎ 중저선량 방사선의 질환별 전임상 치료 효과 분석 방법론 제시
✔︎ 중저선량 방사선 위해성 평가 방법론 도출을 위해 장기(organ)별 중저선량 방사선 위해성 평가 방법론 제시
✔︎ 특히 중저선량 선량 특이적 위해성 평가 방법론 제시하였음.
Ⅴ.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의료용 중저선량 방사선 연구체계 확립으로 기존의 의료 기술에서 해결하지 못한 난치성 질환을 중저선량 방사선 기술을 이용하여 혁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근거 마련
●︎ 중저선량 방사선 비임상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연구체계 구축의 방향 설정
●︎ 국내 주도 중저선량 방사선 의료 개발을 위한 역량 분석, 전략수립, 수요 파악, 네트워크 구축, 활용 방안 수립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주제 발굴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