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배양육 등 대체 단백질 생산과 판매를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시급

  • 등록일2023-09-27
  • 조회수2855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배양육 등 대체 단백질 생산과 판매를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시급


 

◈ 목차

01. 새로운 식품 기술 개발과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02. 배양육 상용화를 향한 우리나라의 현황과 문제점

03. 배양육 등 대체 단백질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

 

 

◈본문

배양육 등 대체 단백질 생산과 판매를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시급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육류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환경과 건강, 동물복지 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 기후변화에 대한 불안감 고조, 그리고 식량 공급망의 불안정성 이슈까지 발생하면서 육류를 대체할 수 있는 효율적이며 안전한 식품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배양육 등 대체식품이 유망한 미래 식품산업으로 관심을 받게 되면서 다양한 기업들이 관련 산업 분야에 출사표를 던지며 차세대 먹거리 개발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시장에서의 우위 선점을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에 따르면 2025년 육류 시장에서 기존 육류가 90%, 대체육이 1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40년에는 기존 육류 40%, 식물성 대체육 25%, 배양육 35% 수준으로 대체육 소비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 시장은 아직 국제적인 성장세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초기 단계를 지나 성장세를 이어가며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배양육 등 대체식품 상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생산 효율성을 높여야 하며, 육류 유사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적 한계도 극복해야 한다. 또한 세포배양을 기반으로 하는 배양육의 경우 생산 플랫폼과 연구기관 간의 협업 시스템 구축, 인허가 등 관련 규제와 기준의 마련, 생산과 판매를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등이 시급하다.


이번 한림원의 목소리는 ‘대체 단백질 식품과 배양육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개최된 제210회 한림원탁토론회에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배양육 등 대체 단백질의 생산 기반 구축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01 새로운 식품 기술 개발과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전 세계적인 위기감 고조 가운데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높아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등으로 인한 식품 원료 수급 불안정성에 대한 우려, 동물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 등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 발생 저감, 비동물성 자원 활용, 기본 식품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 활용 등의 특징을 가진 새로운 식품 생산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콩과 같은 식물 유래 원료로 만들어진 대체 단백질 식품, 그리고 동물을 도축하지 않고 살아있는 동물의 세포를 체외배양하여 만드는 배양육(Cell-Cultivated Meat)은 육류 공급망 확보, 친환경성, 동물복지, 비감염성 등 측면에서 많은 강점을 보이며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많은 국가들이 대체 단백질 생산을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연구개발과 투자, 특허 및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원 등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대체육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약 22조 원에서, 2030년에는 5배 이상 성장한 약 116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의 식물단백질기반 대체식품 시장도 2016년 기준 약 542억 원에서 2026년에는 2463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으로 인해 전 세계 육류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기존 방식의 육류 공급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육류를 대체할 수 있는 배양육 등 대체 단백질 식품의 대량생산 플랫폼 구축 및 확대, 국내 연구기관 간 상호 협업 시스템 구축을 통한 경쟁력 확보 등이 매우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대체 단백질(대체 식품)의 분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