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198] 엑스레이 디텍터

  • 등록일2023-10-24
  • 조회수2570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료기기기술
  • 자료발간일
    2023-10-16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엑스레이 데텍터#이미징 플레이트#의학#의료 시설#디지털 영상 기술
  • 첨부파일

 

 

[ASTI Market Insight 198] 엑스레이 디텍터

데이터분석본부 부산울산경남지원 책임연구원 박 선 영

 

◈ 목차

KEY FINDING

1) 시장의 개요

2) 정책 및 규제 현황

3) 시장 동향

3) 애널리스트 인사이트

 

◈본문

KEY FINDING

1. 엑스레이 디텍터 시장은 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치의학, 수의학 및 항공 보안, 산업용 비파괴 검사 등에 활용되면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 엑스레이 디텍터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2년 31.06억 달러에서 연평균 5.2 %로 성장해 2027년 39.95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3. 2027년 세계 시장에서 의료 부문 71 %, 치의학 부문 9 %, 보안 부문 10 %, 수의학 부문 5 %, 산업 부문 5 %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성장률은 각각 5.3 %, 5.8 %, 4.9 % 4.1 %, 3.8 %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4. 의학적 조기 진단에 대한 수요의 증가, 임상 적용 범위의 확대, 의료 시설 및 디지털 영상 기술의 발전, 환자 증가에 의한 시장의

주도적 성장과 함께 디지털 및 미용 치의학의 성장, 항공 분야의 보안 솔루션의 확대, 산업용 비파괴 검사 시장의 성장과 확대로

시장 성장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1) 시장의 개요

 엑스레이 디텍터(X-ray detector)는 엑스선(X-ray)을 감지하고 측정하는 기기로서 의학, 치의학, 수의학, 과학, 보안,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아날로그 방식의 필름 현상 방식이 아닌 디지털 방식으로 가시 광선 영역에서 사람이 볼 수 있도록 하는 장비이다. 디지털 방식은 CR(Computed Radiography)과 DR(Digital Radiography) 방식으로 구분된다. CR 방식은 이미징 플레이트(imaging plate)에 형광 물질을 도포해 디지털로 변환하는 전통적인 방식이고, DR 방식은 반도체 센서를 활용해 디지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CR 방식은 기존의 아날로그 필름 현상 방식의 장치에 디지털 이미징 플레이트 타입의 디텍터를 활용하는 디지털 레트로핏 방식이다. DR 방식은 엑스선을 바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지 혹은 가시 광선으로 일차 변환한 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지에 따라 직접 변환과 간접 변환 방식으로 구분된다. 직접 변환 방식은 광전도체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활용해 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Flat Panel, FP) 디텍터 형태를 가진다. 간접 변환 방식은 엑스선을 섬광층을 통해 가시 광선으로 변환한 후 전하 결합 소자(Charge-Coupled Device, CCD) 혹은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MOS) 이미지 센서를 활용해 영상을 획득한다. 간접 변환 방식 중에 FP를 활용한 간접 변환 방식도 있으며, 이는 섬광체와 포토다이오드를 활용해 TFT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다.


 엑스레이 디텍터의 분류 및 작동 방식


 엑스레이 디텍터는 응용 분야에 따라 의학, 치의학, 보안, 수의학, 산업용 디텍터로 대별된다. 시장 규모가 가장 큰 의학 분야에서는 흉부, 골, 유방 관련 일반 방사선 영상 촬영과 다양한 의료 목적의 인체 장기 대상의 전산화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종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다양한 방사성 동위원소 측정과 같은 정적 진단 분야와 투시 조영, 심혈관 영상 촬영 등 다양한 동적 진단 분야에 활용된다. 치의학 분야에서는 치열 교정, 근관 치료, 구강악악면 수술, 미용 성형 수술 등의 목적에 활용되며, 수의학 분야에서도 동물의 진단과 치료 목적으로 활용된다. 또한 항공 보안 및 운송 분야의 안전 목적 등을 위한 검사에 사용되며, 특히 산업 분야에서는 비파괴 관련 다양한 제조 분야 및 식품, 패키징 검사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의학적 조기 진단에 대한 수요 증가 및 임상 적용 범위의 확대, 의료 시설 및 디지털 영상 기술의 발전, 환자수 증가에 의해 향후 시장의 성장이 기대되고, 디지털 미용 치과의 성장, 항공 분야의 보안 솔루션 확대, 산업용 비파괴 검사 시장의 성장과 확대로 성장 기회가 폭넓게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2) 정책 및 규제 현황

 엑스레이 디텍터는 의료용, 산업용, 보안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에 따라 각각의 규제가 존재한다. 의료용 엑스레이 디텍터의 경우 의료기기법에 따라 국내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을 받아야 하며, 미국 FDA에서도 인증을 받아야 한다. 산업용 엑스레이 디텍터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국내에서 사용이 허가되어야 하며, 보안용 엑스레이 디텍터의 경우 경찰청 등 관련 기관에서의 사용이 허가되어야 한다. 엑스레이 디텍터 시장에 있어 정책 및 규제 측면에서 시장 저해 및 성장 촉진 요인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양한 디텍터 제품의 인증에 있어 비교적 안정적이고 정형화된 인증 절차를 가지며, 낮은 인증 소요 시간 및 인증 비용이 수반된다.


3) 시장동향

⇨︎ 시장 규모 및 전망

 엑스레이 디텍터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2년 31.06억 달러에서 연평균 5.2 %로 성장해 2027년 39.9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제품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평판형 디텍터(Flat Panel

Detector, FPD), CR 디텍터, 라인 스캔(Line-Scan) 디텍터, CCD 디텍터로 대별되는데, 2027년에 FPD가 67 %, CR 디텍터가 22 %, 라인 스캔 디텍터가 6 %, CCD 디텍터가 5 %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7년 엑스레이 디텍터 시장 비중을 응용 분야별로 살펴보면, 의료 분야 71 %, 치의학 분야 9 %, 보안 분야 10 %, 수의학 분야 5 %, 산업 분야 5 %로 전망된다. 이는 정부의 병원내 신기술 제품 보급 촉진 정책에 따른 보조금 지급과 더불어 자체적인 병원 인프라 개선 확대와 수술 건수 증가에 의한 영향이 큰 데에 기인한다.


엑스레이 디텍터의 제품 유형별 세계시장 규모 및 전망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 지역이 2021년 35.3 %로 가장 큰 시장 규모를 차지하고, 관련 글로벌 주요 기업이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한편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향후 연평균성장률 6.4 %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되며, 해당 지역의 성장 배경에는 일본의 지원 정책, 중국의 노인 인구 증가, 인도와 한국의 의료에 대한 정부 투자 증가, 표적 질병 발병률 증가를 들 수 있다.


응용 분야별 엑스레이 디텍터의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지역별 엑스레이 디텍터의 세계 시장 비중 및 연평균성장률


⇨︎경쟁 현황

 엑스레이 디텍터 시장의 세계 주요 기업은 미국의 바렉스이미징(Varex Imaging Corporation), 애놀로직코퍼레이션(Analogic Corporation), 케어스트림헬스(Carestream Health, Inc.), 벨기에의 아그파게바트 그룹(Agfa-Gevaert Group), 일본의 캐논(Canon, Inc.), 후지필름(Fujifilm Holdings Corporation), 코니카미놀타(Konica Minolta Inc.), 한국의 레이언스(Rayence), 뷰웍스(Vieworks), 캐나다의 텔레다인달사(Teledyne DALSA), 프랑스의 탈레스그룹(Thales Group), 독일의 익스론(YXLON International GmbH) 등이 있다.


세계 엑스레이 디텍터 선도 기업의 시장점유율(2021)


 선도 기업의 경우 업계에서 장기간 활동하면서 재정적으로 안정적이고 세계적으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독점 기술, 강력한 유통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제품군이 좁고 자금력과 유통망이 취약하며, 일부의 경우 시장점유율과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선도 기업과 전략적 파트너십 또는 합작 투자를 추진해 유통망 강화와 신기술 확보, 운영 노하우를 습득하고 있다.


 엑스레이 디텍트 시장의 경쟁 상황을 마이클 포터의 5-force 모델로 분석하면, 해당 시장은 높은 고정 비용, 특허, 다양한 규제 및 브랜드 충성도 등 진입 장벽이 높아 신규 진입자의 위협이 낮다. 한편 의학 부문에서 의학적 상태와 질병의 진단법으로서 엑스레이 디텍터를 위협할 방법은 존재하지 않고 관련 시장이 임상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시장 위협 수준은 매우 낮다. 또한 보안 및 산업 측면에서 엑스레이 디텍터를 활용한 비파괴적 방식에 대한 위협 요인은 거의 없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엑스레이 디텍터 시장은 특수한 솔루션의 공급과 가격 결정력 측면에서 일반재 성격을 일부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급자 교섭력이 비교적 낮고, 구매자 협상력 수준이 일반적으로 높지만, 응용 산업 부문별로 차별화된다. 가령 의학과 보안 부문은 구매자가 많고, 대형 구매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구매자의 협상력 수준이 높고, 반면에 치과와 진단 부문에서는 차별화된 필수 제품이기 때문에 구매자의 협상력 수준이 매우 낮다. 시장은 상위 5개 기업이 50 %를 점유해 경쟁 강도가 낮지만, 성장 잠재력이 기대되면서 많은 소규모 기업이 시장에 진출해 경쟁 강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높은 고정 비용, 특허, 다양한 규제 체제 및 브랜드 충성도와 같은 진입 장벽은 경쟁을 약화시키고 시장점유율 확보를 어렵게 하고 있다.


4) 애널리스트 인사이트

 엑스레이 디텍터 시장은 의학적 조기 진단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임상 적용 범위의 확대, 의료 시설 및 디지털 이미징 기술 고도화를 위한 투자, 유병 환자 인구의 증가, 동물 질병의 유병률 증가 및 수의사의 증가, 성형 치과에 대한 수요의 증가, 엑스레이 기반 공항 보안 강화 솔루션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특히 엑스레이 디텍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심장, 종양학, 안과, 흉부, 치과를 포함한 다양한 임상 분야에 엑스레이 디텍터가 적용되면서 질병 상태의 조기 진단에 대한 수요를 창출해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북미 지역과 유럽 지역에서 성장이 지속되고, 중국과 인도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그리고 브라질의 시장이 급성장 할 것으로 전망된다.


 엑스레이 디텍터 시장의 수요가 비중이 가장 큰 의학 분야에 집중하면서 새롭게 수요를 충족하고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R&D 투자를 통한 기술 개발과 제품 혁신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제품 가격으로 유통 파트너십이 매우 중요한 시장이므로 의료 부문과 다양한 후방 산업의 고객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유통 기업과의 건전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게 필수이다. 또한 응용 산업의 특성상 설치, 유지 보수, 수리 및 교체 서비스와 같은 애프터 서비스 역시 고객 충성도를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한편 엑스레이 디텍터가 고가인 점과 전신 스캐닝에 따른 건강 이슈가 시장의 성장을 일부 저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장 보급이 확대되고 디텍터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리퍼비시 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소규모 기업의 입장에서는 가격 경쟁이 도전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