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ISTEP Brief] 항노화 치료제
- 등록일2024-01-02
- 조회수3994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3-12-22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항노화 치료제#노화#시장동향#정책동향#R&D 투자동향
[KISTEP Brief] 항노화 치료제
◈ 목차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산업동향
제4장 정책동향
제5장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본문
제1장 개요
1.1. 작성배경
◈︎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주요국들의 고령화 추세에 따라 노화에 대응하는 항노화 치료제에 대한 사회적 수요와 관련 기술개발 필요성이 증가
•︎ 2023년 우리나라 고령화지수*는 167.1로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상승 중이며, 2060년 고령 인구비중은 43.9%로 세계에서 가장 높아질 것으로 전망(통계청, 2020)
*65세 이상 인구/15세 미만 인구 x 100
•︎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에서는 불확실성이 낮고 파급효과가 큰 국내 사회적 이슈 중 하나로 ‘고령화’를 꼽았으며, 이에 따른 질병 및 노화 방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KISTEP, 2021)
- 욜드 세대*가 2040년에는 국민의 1/4을 차지하며 경제력을 갖춘 경제 소비 주축으로 부상하여 노화 방지 및 관련 의료 산업이 확장될 것으로 전망
*욜드(YOLD: Young Old) : 1946~1964년 베이비붐 세대에 태어나 현재 노년기에 들어서는 65~79세의 '젊어진 노인층'
•︎ 고령화로 인해 건강한 삶의 욕구가 확대됨에 따라 노화의 기전 발굴,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
- 노화 과정을 억제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 기술(항노화 의약품, 노화세포 제거 기술, 세포 리프로그래밍, 세포 역노화 기술 등)은 최근 국내외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되며 주목받고 있음
[표 1] 국내외 항노화 치료제 관련 미래유망기술 목록
발간연도 | 기관 | 유망기술명 | 정의 |
2020 | MIT | 항노화 의약품 (Anti-aging drugs) | 신체 내의 노화 과정을 타겟으로 하여 질환을 치료하려는 약물 |
2020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조직 내 노화세포 제거기술(Senolytics) | 노화 및 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노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조직 항상성을 유지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 |
2022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장기지속형 항노화 치료용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 | 인체 내 세포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리프로그래밍을 유도할 수 있는 신규화합물, 효소, 전사인자, ncRNA, 바이러스 등을 활용한 후성유전학적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술 |
2023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세포 역노화 (Cell rejuvenation) | 세포 리프로그래밍 등을 통해 세포의 건강을 유지하고, 세포의 재생 능력을 복원 |
※ 출처: MIT Technology Review 2020, KISTEP 20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20, 2023
◈︎ 세포생물학 연구와 항노화 기술의 발달로 건강수명 연장의 가능성이 확인되고, 노화가 치료・예방이 가능한 질환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관련 연구개발 및 창업이 활발
•︎ 세포분열, 세포사멸 등 세포생물학 및 유전학에 대한 이해 증진과 젊은 혈액유래 인자, 세포 역노화, 노화세포 제거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항노화 기술의 가능성이 확인됨
- 1960~70년대 생쥐를 이용한 병체결합(parabiosis)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젊은 혈장, 혈액유래 인자의 장기 기능 강화 및 수명연장 효과에 대한 연구 확대
*외과적 수술을 통해 젊은 쥐와 늙은 쥐의 순환기관을 결합시킨 결과, 늙은 쥐의 골중량 및 골밀도가 증가하고(Horrington 외, 1960), 수명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Ludwig 외, 1972)
- 2006년 야마나카 신야 박사는 성숙하고 특화된 체세포에 특정 인자 4가지를 주입, 미성숙 세포로 역분화시켜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로 재프로그램하는 데에 성공, ‘역노화’ 개념을 확산
- 2010년대 노화세포 제거 시 노인성 질환이 개선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현상이 확인되며 항노화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
•︎ 2018년 WHO는 생물학적 노화현상을 병리학화하고 그에 대응하는 치료 개발을 촉진하고자 ‘고령(Old Age)’에 질병코드(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 MG2A를 부여, 노화가 질환으로 인식되는 계기를 마련
- 한편 노화를 질환으로 인식할 때 예상되는 사회적 부작용(연령에 기반한 편견이나 차별(Ageism)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어 최근 ‘노화와 관련된 내적 역량 감소(Ageing associated decline in intrinsic capacity)’로 수정됨
- 이러한 추세에 따라 현재 노화는 당뇨, 퇴행성뇌질환, 암 등 여러 노인성 질환의 선행 질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음
※ 출처: 미국노화연구연맹(American Federation for Aging Research, AFAR) 홈페이지
[그림 1] 노화와 노인성 질환
•︎ 최근 세계 각국의 항노화 기술 개발 스타트업들이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하면서 사회・경제적 관심이 증폭되고 있음
- 2022년 항노화 바이오 기술 개발 기업인 ‘Altos Labs’는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이조스, DST 창업자인 유리 밀너를 포함한 거대 투자자들의 지원으로 30억 달러 투자를 유치
-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 오라클 창업자인 래리 엘리슨, 챗GPT 개발자인 샘 올트먼,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 등 유명 인사들이 노화 방지 연구에 수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관련 연구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
- 미국 브레인트리 창업자인 브라이언 존슨은 10대의 신체를 갖기 위한 항노화 프로젝트를 위해 연 200만 달러를 투자하고 있으며, 2023년 4월 17세 아들의 혈장을 수혈받아 관련 기술이 재조명됨
※ 출처: 브라이언 존슨 인스타그램
[그림 2] 브라이언 존슨(앞)과 그의 아들(뒤)
◈︎ 본 고에서는 항노화 치료제의 기술개발, 관련 정책 및 투자 현황을 분석하여, 연구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노화 시계(aging clock)를 늦추는 당뇨병 치료제 2024-10-10
- BioINwatch 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2024-05-09
- BioINpro [면역제어 기술]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2023-11-21
- BioINwatch 생식 노화를 복구하는 천연 폴리아민, 스페르미딘(spermidine) 2023-11-09
- BioINwatch 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2023-09-1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