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최근 연구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24-01-03
- 조회수3790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3-12-22
-
출처
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간배아줄기세포#세포치료제#인공배아합성#인공장기#인공배반포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최근 연구동향 및 전망
CMC Science 황 정 욱
◈ 목차
(1) 줄기세포의 정의 및 특징
(2)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정의 및 특징
(2.1.)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정의
(2.2. )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징
(2.3.)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분리법
(2.4.) 인간배아줄기세포 법률 및 국내 분양기관
(3)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연구동향
(4) 결론
(5) 고찰
(6) 참고문헌
◈요약문
인간 배아 줄기 세포를 이용한 연구는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지만, 동시에 윤리적인 고민과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또한, 인공 배아 및 인공 장기 연구는 현대 의학의 미래를 열어 나갈 수 있는 획기적인 분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는 기술적 도전과 함께 윤리적인 쟁점에 대한 심사숙고와 국제적인 협력이 성공적으로 진전되면 의학 및 생명과학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며 연구의 투명성과 책임감 있는 활용을 통해 미래의 의료 기술과 생명과학의 진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
■ “줄기세포”는 1908년, 베를린 혈액학회에서 러시아 조직학자인 알렉산더 막시모(Alexander Maksimov)에 의해 과학적 용어로 사용되었다. 70년 후, 1978년 인간의 제대혈에서 조혈모 줄기세포를 발견하였다 [1]. 그로부터 3년 뒤 마틴에반과 게일 R. 마틴에 의해 배아줄기세포라는 용어가 확립되었다 [2]. 2006년 일본의 신야 야마나카 박사와 카츠토시 타카하시 박사에 의해 쥐의 만능줄기세포를 제작에 성공하였으며 인체의 세포 조직에서 미성숙 세포로 재프로그램이 가능한 유도만능줄기세포가 개발되었다 [3]. 이처럼, 100년의 연구역사를 바탕으로 “줄기세포”는 생명과학 및 의학 분야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로 인식되었다. 성체줄기세포는 성체 내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세포유형으로 분화될 수 있는 다능한 세포이다. 주로 성장, 유지 및 손상된 조직이나 기관의 재생에 활용되며 주변의 환경에 따라 특정한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배아줄기세포는 배아 단계에서 추출되는 세포로 배아의 발달에 대한 생명현상과 신경학, 심혈관학 및 재생의학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윤리적인 문제를 동반한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나 다른 세포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줄기세포이다. 일반적으로 유전자 조작이나 특정 환경 조건에서 특정한 세포 유형으로 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환자의 개인 맞춤형 치료법으로 개발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줄기세포의
종류는 성체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로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본 원고에서는 줄기세포에 대한 정의 및 특성과 배아줄기세포에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줄기세포의 정의 및 특징
줄기세포는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조직에서 자기 자신을 복제하거나 다른 세포로 분
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로 자기 복제능력(Self-renewal), 다분화 능력(Pluripotency), 자체 조절
(Self-regulation), 호밍효과(Homing effect), 유연성(Plasticity) 등의 주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림 1).
ㆍ 호밍효과(Homing effect): 줄기세포가 이동하여 상처 부위 또는 손상된 조직으로 정확하게 이동하고 필요한 세포 또는 조직의 복원 및 재생을 돕는
현상으로 화학적 신호감지, 이동 및 이동방향 결정, 분자상호작용, 조직 재생 및 수리와 같은 주요 특징을 나타낸다.
ㆍ 자기 복제능력(Self-renewal): 줄기세포는 자기 자신을 복제할 수 이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자체 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특성은 지속적으로 줄기세포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가 가능한다.
ㆍ 다분화 능력(Pluripotency): 일부 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 유형으로 분화할 수 있는 다분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하나의 줄기세포가 다양한 세포로
전화 될 수 있는 잠재력을 의미한다. 다분화 능력을 가진 줄기세포는 특정 조직이나 기관에서 필요한 세포 형태로 분화할 수 있다.
ㆍ 자체 조절(Self-regulation): 줄기세포는 주변환경의 신호에 반응하여 분화하거나 자기 자신을 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줄기세포가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적절한 방식으로 행동하고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체 조절 능력은 조직과 기관의 유지 및 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ㆍ 유연성 (Plasticity): 일부 줄기세포는 다른 세포 유형으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이것은 줄기세포가 여러 다양한 조직 및 기관에서 필요한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는 유연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세포를 통해 손상된 조직을 치료하거나 신경계 질환 및 다른 질병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림1. 줄기세포의 주요특징
줄기세포의 범위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및 조직공학치료에 활용되는 의료기술 및 의약품과 신약 스크리닝, 3D 오가노이드 분야의 융합산업을 포함하며 줄기세포의 생산성과 연관된 플랫폼 산업 전반을 포함하고 있다. 줄기세포 외 체세포, 면역세포, 이종세포 등을 이용한 세포치료 및 유전자치료 기술에 해당하는 재생의료와 다르며, 치료산업적인 측면에서 서로 공통된 범위를 가지고 있기에 산업적 측면의 범위를 혼동하지 말아야 되며, 줄기세포가 재생의료 보다 넓은 범위를 내포하고 있다 (그림 2) [4].
그림2. 줄기세포의 산업적 활용 범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