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스마트농업 구현을 위한 농기계 기술 동향
- 등록일2024-01-09
- 조회수3019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23-12-29
-
출처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농업#농기계 기술#농업기술
- 첨부파일
스마트농업 구현을 위한 농기계 기술
◈본문
■ 요약
최근 농업은 다양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융·복합되고 있으며, 인력 중심의 농작업에서 무인화 및 지능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경험 의존적인 농업을 데이터가 대신하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스마트농업으로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농업 경쟁력 제고 및 대응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글로벌 스마트 농기계의 시장 규모와 산업 현황을 분석하고, 최근 스마트농업 분야의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자율주행 기술,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농업 솔루션 등의 최신 선행기술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유럽, 일본 등 농업 선진국은 하드웨어 중심에서 데이터, 농업 솔루션 중심의 소프트웨어 농업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농기계 제조사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농업 환경 데이터와 농기계의 연동을 통한 스마트 농기계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농업 환경 정보인 공공 데이터와 농기계의 데이터 연동을 위한 플랫폼과 스마트농업 솔루션이 필요하다. 동시에 농기계가 스마트농업 솔루션을 기반으로 농작업 수행이 가능하도록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및 전동화 기술을 활용한 무인 농작업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스마트 농기계 기술은 식량 안보 문제 해소를 위해 필수적인 기술로, 농기계 제조사와 다양한 IT 기업들의 융합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해야만 세계 Top-tier 농기계 기업과의 기술 격차 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 농기계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
지금까지의 농기계 기술은 주로 엔진, 변속기 등 성능고도화 중심의 하드웨어 기술 개발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융·복합되고 있으며, 인력 중심의 농작업에서 무인화 및 지능화되어 가고 있다. 또 경험 의존적인 농업을 데이터가 대신하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스마트농업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생산물 위주의 농가 소득을 2차 가공을 통한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을 가능하게 하고 새로운 전후방산업의 육성이 가능하여 농업을 1차산업에서 6차산업으로 급부상시키고 있다.
그림 1. 농기계 기술의 패러다임 변화
스마트농업이란 시설농업, 노지농업 및 생산 후 유통·물류·소비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빅데이터(Big Data), 클라우드(Cloud)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하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및 지능화를 이루는 농업을 의미한다.
그림 2. 스마트농업 기술
2 농기계 시장의 동향
세계 농기계 시장
지속적인 세계 식량 위기에 따라 세계 농기계 시장은 2022년 약 1,646억 달러에서, 2021~2026년 기간에 연평균 6.5%의 성장률로 상승하여 2027년 약 2,255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연평균 성장률은 트랙터, 콤바인 등의 완성차가 7.9%로 가장 높으며, 작업기는 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3. 세계 농기계 시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