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ADCs(Antibody-Drug Conjugates) 항암제 관련 연구개발 동향
- 등록일2024-02-19
- 조회수3362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4-02-01
-
출처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 원문링크
-
키워드
#항암제#표적항암치료#항체-약물 접합제
ADCs(Antibody-Drug Conjugates) 항암제 관련 연구개발 동향
◈본문
■ 요약문
ADCs(Antibody-Drug Conjugates) 항암제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현재 널리 각광받고 있는 면역항암제와 함께, 항체-약물 결합체 기술은 항암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외 다수의 제약사들도 ADCs 항암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다양한 항체 및 약물의 결합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치료법과 전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 보고서는 ADCs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여 항암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 서론
Antibody-drug conjugates(ADCs)는 암 치료 분야에서 주목받는 혁신적인 치료법으로, 전통적인 화학요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최신 연구의 산물이다. 이러한 치료법은 정밀 의학의 발전과 함께 암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특정 항체에 독성이 있는 항암제를 결합함으로써, 암세포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ADCs 의 핵심 구성 요소는 세 가지로, 특정 암세포의 표면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하는 항체, 암세포 내로 전달되어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독성 항암제, 그리고 이 두 요소를 연결하는 링커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암세포에 대한 선택적인 약물 전달을 가능하게하여 정상세포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치료 효과는 극대화한다.
ADCs 의 개발과 사용은 암 치료 전략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특히 전통적인 화학요법이 가지는 광범위한 세포독성과 비특이적 약물 전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이러한 치료법은 암세포의 특정 표적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보다 개인화되고 효과적인 치료 결과를 도모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특장점을 바탕으로 국내외 다수의 제약사에서 가장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기술이기도 하다. 본 보고서는 ADCs 의 기본 원리, 구성 요소, 작용 메커니즘을 소개하고, 이 치료법이 직면한 주요 도전 과제 및 내성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ADCs 의 발전이 암 치료에서 어떤 의미가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암 치료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본론
2.1. ADCs 의 역사적 배경: 초기 항암 치료법에서 현대의 ADCs 까지의 발전 과정
암 치료의 역사는 초기의 단순하고 광범위한 접근법에서 정밀하고 표적화된 치료법으로의 발전을 거쳐왔다. 처음에는 화학요법이 주된 치료법으로 사용되었으나, 이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도 손상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더 세밀하고 특정한 암세포를 표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80 년대에 들어서며, 과학자들은 항체를 이용해 암세포 특정 항원을 표적으로 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연구는 항체를 약물과 결합시키는 아이디어로 발전했고, 이것이 바로 항체-약물 결합체(ADCs)의 기원이다. ADCs 는 암세포에 특이적인 항원을 인식하는 항체와, 그 항체에 결합된 고도로 독성이 있는 약물로 구성된다. 이 항체는 암세포에 결합한 후 약물을 암세포 내부로 전달함으로써,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정상세포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어, 암 치료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게 되었다. ADCs 의 개발은 다양한 과제와 함께 진행되었으며, 특히 약물의 효과적인 전달, 항체와 약물을 연결하는 링커의 안정성, 그리고 암세포의 내성 문제 등이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2000 년대에 들어서며, 여러 ADCs 가 임상시험을 거치고 일부는 FDA 의 승인을 받기 시작했다. 이들은 특히 기존의 치료법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려운 특정 유형의 암에서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ADCs 의 발전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더 효과적인 항체 발견, 새로운 표적 항원의 탐색, 그리고 내성 메커니즘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 개발 등을 통해 앞으로도 암 치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2.2. ADCs 의 구성 요소 및 작용 메커니즘
항체-약물 결합체(ADCs)는 항체, 세포독성 약물, 화학적 링커로 구성된다. ADCs 가 표적세포에 도달하면 단일클론항체(mAb)가 세포 표면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하고, ADCs-항원 복합체는 암세포 내에서 엔도사이토시스에 의해 내재화되어 초기 엔도좀(early endosome)을 형성하고, 성숙한 후 후기 엔도좀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리소좀과 융합한다. 그런 다음 세포독성 약물은 리소좀에서 화학반응 또는 효소분해를 통해 mAb 에서 방출되어 세포독성 효과를 발휘하여 세포 자살(Apoptosis) 또는 사멸을 유발한다.
항체-약물 접합체(ADCs) 설계에 있어 적절한 표적 항원의 선택은 필수적이다. 우선, 항원은 종양 세포에서만 독점적으로 또는 주로 발현되어야 하며, 이는 비표적 독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둘째로, 표적 항원과의 결합은 이상적으로 항원-항체 복합체의 내부화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항체에 의해 인식될 수 있도록 내부가 아닌 세포 표면에 있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항원이 아니어야 한다. FDA 에서 승인한 ADCs 의 표적 항원은 혈액학적 악성 종양에서는 CD19, CD22, CD30, CD33, CD79b 이며, 고형암에서는 HER2, trop2, nectin4, 조직 인자 및 엽산 수용체 알파(FRα)이다. 이상적인 항체 부분은 효과적인 내부화를 촉진하고, 항원 친화력이 높으며, 긴 혈장 반감기를 유지하고, 낮은 면역원성을 보여야 한다.
그림 1. ADC의 작용 메커니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