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과학과 기술] 2024년을 이끌 과학기술 트렌드 : 2024 바이오 패러다임과 기술 트렌드

  • 등록일2024-03-12
  • 조회수2456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과학과 기술] 2024년을 이끌 과학기술 트렌드 : 2024 바이오 패러다임과 기술 트렌드


 

 

◈본문


 2024 바이오 패러다임과 기술 트렌드


 혁신기술의 발명은 새로운 과학적 지식의 발견을 촉진한다. 「사이언스」지에서는 과학과 기술을 ‘파워 커플(Power couple)’이라 지칭하며, 과학적인 기술(Scientific technology) 의 발전은 새로운 과학적 발견 (Scientific discovery)을 유도해 그간 알 수도 할 수도 없었던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바이오 분야에서 새로운 혁신기술들의 등장은 생명현상의 이해를 가속해 최근 개발된 단일세포 이미징 및 시퀀싱 기술은 발달 생물학, 면역학, 종양학에 매우 진보된 접근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플랫폼바이오와 바이오 패러다임

이러한 관점에서 레드바이오(보건•의료), 그린 바이오(농업•식품•자원), 화이트바이오(화학•에너지) 와 같은 응용•산업분야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플랫폼바이오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유전체 분석, 유전체 편집, 세포 리프로그래밍, 합성생물학처럼 레드•그린•화이트 바이오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플랫폼바이오가 바이오 기술개발과 산업발전에 혁신을 가속하고 있다. 실례로 우리가 그 어느 때보다 빨리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체를 시퀀싱하고 구조를 분석해 백신을 개발할 때 플랫폼바이오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한편 DNA, RNA, 단백질,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오 콘텐츠가 디지털 프레임을 만나면서 기존의 접근방법으로는 한계가 많았던 글로벌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바이오 패러다임이 형성되고 있다. 정밀/맞춤, 재생/회복, 지속가능이라는 바이오 패러다임은 플랫폼바이오와 더불어 한동안 바이오 분야의 큰 흐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플랫폼바이오는 생명현상을 있는 그대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생명분석(Read), 이러한 현상을 재설계하는 편집/리프로그래밍(Edit), 이를 기반으로 생명현상과 유용한 기능을 모사/합성(Write)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가상의 공간에서 생명현상을 시물레이션하는 가상/예측은 새로운 차원의 상상력을 더할 것으로 전망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