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NRF R&D Brief-2024-14호] 암 면역과 암 면역치료
- 등록일2024-05-09
- 조회수2024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4-29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암 면역#암 면역치료#면역관문저해제#CAR-T세포 치료제
[NRF R&D Brief-2024-14호] 암 면역과 암 면역치료
◈본문
1. 암 면역과 암 면역치료란?
○암세포는 정상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는 항원을 생성할 수 있으며 숙주 면역시스템은 이를 외부 항원으로 인식하고 암 항원 특이적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암세포 증식을 제어하는 ‘면역 감시(immune surveillance)’를 수행함.
○암에 대한 정상적인 면역반응은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지만, 암세포 및 암 미세환경은 다양한 방법으로 암 특이적 면역반응을 회피 또는 억제하여 암 생성, 발달, 전이를 유발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암 특이적 면역반응의 활성 또는 억제 현상 및 그 유도 기전이 포함된 용어가 ‘암 면역(Cancer Immunology)’임.
○전통적인 암 치료법인 외과적 절제, 화학적 치료, 방사선치료는 공통적으로 암세포를 직접제거하는 방법인 데 반해, 암 환자의 면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암을 공격하게 하는 방법을 ‘암 면역치료(Cancer immunotherapy)’라고 하며 대표적인 면역항암제로 면역관문저해제및 CAR-T세포 치료제가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음.
2.왜 주목받고 있나?
○암세포는 T세포 표면에 발현된 면역관문분자를 자극하여 T세포 기능을 억제하는데 면역관문분자를 중화하는 단클론항체가 T세포 기능을 재활성시킬 수 있음이 밝혀지면서 암 면역치료의 새로운 전략이 제시되었음. 이후 전통적인 암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진행성흑색종 환자가 면역관문저해제 투여 후 병이 호전되는 임상 시험 결과가 제시된 이후 암 면역치료는 새로운 암 치료 방법의 하나로 정착되었음.
○면역관문저해제 임상 사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면역관문저해제의 암 환자별 반응성의 차이 및 부작용이 보고되었으며 그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도 심화함에 따라 현재사용 중인 면역항암제 반응성을 증진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전략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음.
3.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암 면역치료 연구는 의과학/면역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 2011년 CTLA-4 억제제 및 2014년 PD-1 억제제가 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FDA 임상 허가를받은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특히, Immune Checkpoint 관련 연구는 2023년에 6,495편의 논문이 출판되었으며, 이는2013년 대비 지난 10년 사이 3,500% 증가가 수치임.
○암 세포치료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CAR T 관련 논문 역시 지난10년간 발표 건수가 계속 증가해왔음.
* 클래리베이트(ClarivateTM) 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하는 SCI급 논문 저널 정보 DB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ASTI Market Insight 256] 나노 탄산칼슘
-
다음글
- [NRF R&D Brief-2024-15호] 항체-약물 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