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261: '이너뷰티', 콜라겐 시장

  • 등록일2024-05-17
  • 조회수235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4-05-03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콜라겐#화장품#의약품 소재#이너뷰티
  • 첨부파일

ASTI Market Insight 261: '이너뷰티', 콜라겐 시장


 

KEY FINDING

  • 1. 콜라겐은 ‘먹는 화장품’으로 알려진 ‘이너뷰티’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국내에서는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 소재이며, 세계적으로는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 2. 세계 콜라겐 시장규모는 2021년 기준 약 45억 달러로 2030년까지 연평균 5.3%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71.8억 달러까지 성장할

  •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3. 국내 식품분야 콜라겐 시장은 2016년 222억 원 규모에서 2022년까지 연평균 31.3%로 급성장 하여 2022년에는 1,137억 원까지

  • 증가하였는데, 특히 건강 기능성 식품인 가수분해 콜라겐은 연평균 성장률 58.7%을 기록하였다.

  • 4. 유럽 콜라겐 시장은 성숙시장에 진입한 반면, 국내 시장은 성장률이 둔화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고,

  • 대기업을 비롯하여 신규 참여자가 증가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 5. 국내 콜라겐 시장의 경쟁이 점차 심화됨에 따라 차별화 전략이 요구되고 있으며, 해외 시장 진출이나 의약품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 제품 분야 확장 등의 적극적인 대응노력이 필요해지는 상황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1) 시장의 개요 


 ‘이너뷰티’라는 용어는 ‘이너(Inner)’와 ‘뷰티(Beauty)’의 합성어로 몸 밖에서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화장품이 아닌, 섭취를 통해 몸 안에서 건강한 아름다움을 만들어 나간다는 개념의 제품을 일컫는다. 이너뷰티는 건강한 아름다움을 표방하면서 ‘먹는 화장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 제품이 콜라겐이다.

콜라겐은 히알루론산과 함께 피부의 보습과 탄력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재생과 탄력성 등 피부 노화는 물론이고 연골 및 뼈의 재생, 손상된 혈관의 회복(repair)에 관여하는 물질이다. 체내에서의 콜라겐 기능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이 증가하고 콜라겐의 물질적 특성을 이용한 기술개발이 활발해지면서, 화장품뿐만 아니라 의약품 및 식품소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포유류의 결합조직이나 피부조직의 세포외 기질에 존재하는 중요한 단백질 구조체 중의 하나인 콜라겐은 체내 단백질의 약 25%~35%를 차지한다. 존재하는 형태를 보면, 피부의 구성요소로 체내 절반 정도가 존재하며, 힘줄(건), 인대 등 근섬유성 조직에 주로 존재한다. 그 이외에 각막, 연골, 뼈, 혈관, 내장 등의 다양한 부위에 존재한다.

구조를 보면, 3개 가닥(triple strands)의 헬릭스 구조체인 섬유 (fibril)단백질1)로 20여개의 종류가 있으며, 분자량은 300kDa이상이다. 3개 가닥(triple strands) 형태인 콜라겐을 가수분해하여 1개 가닥(single strand) 형태로 만든 것을 젤라틴이라고 하며, 젤라틴의 분자량은 50kDa~100kDa 정도이다. 콜라겐을 젤라틴으로 분해한 후 다시 가수분해한 것을 콜라겐 펩타이드(또는 가수분해 젤라틴)이라고 하며 분자량은 300Da~8kDa 정도이다. 소재 관점에서 콜라겐 시장은 콜라겐, 젤라틴, 콜라겐 펩타이드 모두를 포함하는 시장이다.


그림 1 콜라겐, 젤라틴, 콜라겐 펩타이드의 구조 및 용도



콜라겐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주로 활용되는 응용 분야도 다양하 다. 콜라겐 자체는 구조적인 특수성 때문에 체내 흡수가 어려워 주 로 collagen casting이나 의학적 조직공학에 주로 사용된다. 젤라틴 의 경우는 젤을 형성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젤리, 마시멜로, 휘핑제, 안정제 등과 같은 식품 소재나 연성이나 경성 캡슐을 만드는 데 첨가 제로 사용된다. 콜라겐 펩타이드는 체내 흡수율이 높다는 점 때문에, 피부 건강이나 뼈 기능성 등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 식품, 스포츠 음료 등으로 활용된다.


2) 콜라겐 시장의 성장요인


콜라겐 시장의 성장은 소비자 요인과 공급자 요인으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소비자 요인으로는 건강한 아름다움에 대한 니즈의 증가가 성장을 이끄는 가장 주요한 요인이다. 건강한 스타일을 추구 하는 식품으로서의 콜라겐, 이너뷰티의 대표 제품으로서의 콜라겐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피부의 구성 성분이면 서, 근섬유질의 주요 성분인 콜라겐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 증가는 수 요를 소비로 연결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소비자의 경제력 향상도 콜라겐 시장의 성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 다. 콜라겐 시장은 선진국 중심으로 성장해 온 시장이다. 경제가 성장 하면서 수요자들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위한 수요와 소비가 증 가함에 따라 관련 제품인 콜라겐 시장도 성장하였다. 유럽의 선진국 은 콜라겐 시장의 선도시장으로서 성숙산업에 진입한 반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처럼 경제가 뒤늦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의 시장은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고, 성장 속도는 빨라서 성장산업에 해당된다. 2007년 까지만 해도 200억 원2)이었던 우리나라의 콜라겐 시장도 2021년에 는 5천억 원 규모3)로 급성장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공급자 관점에서는 관련 과학기술의 발달을 성장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콜라겐의 기능이나 대사 등과 관련한 과학지식이 축적되면서 소비자의 니즈를 자극할 수 있는 정보를 생산해 나가고 있다. 또한, 콜라겐 효능을 활용한 스킨케어나 헤어케어 화장품, 스포츠 영양제 품, 치료용 식품, 다이어트 식품 등 식품류, 식물 유래의 콜라겐 제조 기술 등 제품의 원재료 생산 및 제품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제품들 이 출시되어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화장품이나 식품 이외에도 의학 및 약학 쪽의 기술발전도 중요한 요소로 꼽을 수 있다. 상처 드레싱, 뼈 결손이나 형성을 위한 충진재, 치료용 효소의 고정재, 약물전달체 등 구조적 단백질인 콜라겐을 활 용한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고부가 제품으로서 시장 성 장을 촉진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