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264: 동물용 백신

  • 등록일2024-05-23
  • 조회수1753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4-05-13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동물용 백신#동물성 질병#동물감염병#애완동물
  • 첨부파일

ASTI Market Insight 264: 동물용 백신


 

KEY FINDING

  • 1. 동물용 백신(veterinary vaccine)은 특정 질병으로부터 동물을 보호하는 생물학적 제제(biological preparation)이다.

  • 2. 세계 동물용 백신 시장은 2022년 81억 2,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CAGR) 5.9%로 2027년에는 108억 1,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 백신 시장은 2022년 9억 8,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8.4%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7년에는 15억 9,000만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 3. 가장 규모가 큰 아시아-태평양 시장은 32.5%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7.8%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최대 시장 점유율(35.5%)을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

  • 4. 글로벌 선도 기업은 Zoetis, Inc.(미국), Merck & Co., Inc.(미국),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독일), Elanco Animal Health(미국), Virbac(프랑스)가 있으며, 이들의 시장 점유율은 75-80% 규모이다.

  • 5. 우리나라는 해외에서 유입되고 있는 동물감염병으로 발생한 가축의 살처분과 방역 등으로 인한 심각한 경제적〮사회적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통해 동물감염병에 대한 연구개발 및 국제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 6. 기존 동물용 백신에 대한 R&D 경쟁력과 자본력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선도기업의 동물용 백신을 저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후, 동남아 등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1)시장의 개요 


 동물용 백신(veterinary vaccine)은 특정 질병으로부터 동물을 보호하는 생물학적 제제(biological preparation)이다. 예방접종은 동물 의 건강을 개선하고, 동물성 질병의 확산을 줄이며, 우유, 고기, 계란, 양모 및 기타 관련 제품의 생산량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 세계 동물 용 백신 시장은 식품용 동물 백신(가축/돼지/가금류/ 어류 백신), 반 려동물 백신, 기타 백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식품용 동물 백신이 가장 큰 비중(81%, 2022년 기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백신은 상 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2022년 13%의 시장점유율이 2027년에는 15%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것은 반려동물 개체 수 증가, 인수공통질병 발병률 증가, 다양한 정부 기관 및 동물 협회의 정책, 동물 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이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이 다. 반면, 백신의 높은 보관 비용과 애완동물 관리 비용의 상승은 시장 성장을 제한할 것이다. 지역 측면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2022년 기준 동물용 백신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32.5%)을 차지하였고, 그 뒤를 북미(31.0%)와 유럽(29.5%)가 차지하였으나, 아시아-태 평양 지역의 반려동물 인구 증가 및 동물 건강과 생산성 향상 등의 요인으로 2027년에도 북미(27.9%)와 유럽(28.5%)보다 큰 35.5%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 환경은 상위 5대 기업이 75~80%의 시장을 점유하는 과점적 형태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외에서 유입되고 있는 동물감염병으로 발생한 가축의 살처분과 방역 등으로 인한 심각한 경제적〮사회적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동물감염병 대응 연구개발 추진전략(19.12.6)’ 및 ‘제3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23~’27)(23.6.8)’을 통해 다양한 동물감염병 에 대한 연구개발 및 국제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2) 시장 동향


 시장 규모 및 전망


 지난 20년 동안 애완동물 인구의 증가로 인해 동물성 질병의 발병률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였다. CDC에 따르면, 알려진 전염병 10 개 중 6개와 사람에게 새로 발생한 질병 4개 중 3개가 동물을 통해 전파된다고 한다. 또한 국경을 넘는 질병의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최 근 코로나가 그러했고, 2018년에는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남미 일 부 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이 전세계 가축 개체수의 약 77%에 퍼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물 예방접종에 관한 공중보건 지침이 동물성 질병의 확산을 통제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확립됨에 따라, 이러한 질병의 발생률 증가는 앞으로도 여러 동물용 백신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적인 인구 증가는 육류 기반 식품(쇠고기, 송아지 고기, 버팔로 고기, 양고기, 양고기, 염소 고기, 돼지고기, 가금류 고기, 우유 및 유제 품, 계란 등)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축산물은 전 세계 단백질 소비의 33%를 차지하고 있다. 축산업은 동물성 식품의 소비 증가로 인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동물성 식품의 수요와 공급 지 도에 관한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의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 국가들에서 쇠고기, 우유, 양고기, 돼지고기 등 축산물 수요가 가장 높은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소, 돼지, 닭고기의 1인당 소비량(kg)은 2011 년 총 40.37kg (우육: 10.16kg; 돈육:18.84kg; 계육:11.37kg)에서 10년 후인 2021년에는 총 56.1kg(우육:13.80kg; 돈육:27.60kg; 계 육:14.70kg)으로 약 39%(우육:35.8%; 돈육:46.5%; 계육:29.3%) 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육류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7년에는 60.6kg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동물성 식품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식품-생산 동물(foodproducing animals)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예방접종이 요구된다. 전반적인 반려동물 개체 수와 입양률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특히, 선진국은 물론 지난 몇 년간 인도, 중국 등 개발도상국에서도 반려동물의 개체 수가 꾸준히 증가해 왔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심장 부정맥 감소, 혈압 정상화, 불안 감소, 심 리적 안정성 향상, 웰빙 개선 등 긍정적인 건강상의 이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역시 2017년 전국 1,952만 가구 중 29.4%인 574만 가구가 총 874만 마리의 반려동물(개 632만 마리, 고양이 243만 마리)을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27년에는 1,320만 마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애완동물 인구의 증가는 애완동물 관리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결국 수의학 백신과 같은 종속 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할 것이다. 종합적으로 세계 동물용 백신 시장은 2022년 81억 2,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CAGR) 5.9%를 기록하여 2027년에는 108억 1,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세계 가축/돼지/가금류/어류 백신 시장규모는 2022-2027년 기간 동안 연평균 5.4%로 성장해 2022 년 64억 달러에서 2027년까지 85억 2,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 상된다. 반려동물 백신 시장은 2022년 9억 8,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8.4%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7년 15억 9,000만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동물용 백신의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2022~2027)


지역 측면에서 살펴보면, 아시아-태평양은 2022년 기준 동물용 백 신의 가장 큰 시장(26억 4,000만 달러)이고, 북미(24억 8,000만 달러)와 유럽(23억 8,000만 달러)이 그 뒤를 이었다. 아시아 태평양 시장은 반려동물의 인구 증가, 동물 건강 및 생산성 향상에 대한 관심 증가, 동물 항생제 사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로 인해 항후에도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2 지역별 동물용 백신의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2022~202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