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263: 체외수정
- 등록일2024-05-24
- 조회수1528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5-16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체외수정#배아이식#임신
- 첨부파일
ASTI Market Insight 263: 체외수정
KEY FINDING
1. 체외수정은 과배란을 유도한 후 난소로부터 난자를 채취하여 배양접시에서 정자와 수정을 시키고, 수정된 배아를 다시 자궁 내로 이식하여 임신을 가능하게 하는 시술이다.
2. 세계 체외수정 시장은 2022년 6억 9,300만 달러로 추정되고, 연평균 성장률(CAGR) 7.2%를 기록하며 2030년에는 13억 7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3.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체외수정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37%, 2022년 기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일본, 인도가 상위 국가에 속하며, 의료 관광 및 치료 비용 감소 등의 영향으로 향후 연평균 8.3%로 성장하여 2030년 5억 2,400만 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4. 주요 서비스 기업으로는 The Cooper Companies Inc.(미국), Cook Group(미국), Vitrolife(스웨덴) 등이 있으며, 상위 5대 기업이 50% 이상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5.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소득기준 폐지'와 '난임 시술별 횟수제한 폐지로 총 22회로 시술선택권 보장'하는 정책 등으로 체외수정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6. 우리나라의 체외수정 시장은 2022년 2,200만 달러로 추정되며, 연평균 6.3%로 성장하여 2030년에는 3,8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7. 체외수정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기술력과 임상적 성과를 증명할 수 있는 자본력을 갖춘 기업들은 협력 관계를 구축하거나 인수합병을 통해 진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1)전기 선박 시장의 개요
체외수정(In vitro fertilization: IVF)은 여성에게 배란 유도 호르몬제를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도한 후 난소로부터 난자를 흡인하여 배양액 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성숙한 난자로 키운 후 배양 접시 안에서 정자와 수정을 시킨다. 체외수정 후 배아 발달 과정을 확인한 뒤에, 환자의 자궁 내로 수정된 배아를 이식하여 임신이 가능하게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체외수정 시장은 초산 평균 연령 증가, 출산율 감소, 남성 불임 증가, 음주 및 담배 소비 증가, 대중 인식 제고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시술 비용, 낮은 성공률, 윤리적 우려 등으로 인해 성장성은 어느 정도 제한되는 특성이 있다. 특히, 한국은 최근 주택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취업 준비기간이 길어지면서 결혼을 늦게 하는 경향이 심해지고 있다. 자연스럽게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이 높아지면서 난임 인구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체외수정 시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체외수정 시장은 크게 장비(equipment)와 시약/배양액(reagents and media) 시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장비 부문이 IVF 시술 수의 증 가와 유명 제조업체의 첨단 IVF 장비 도입 등으로 인해 가장 큰 점유율 (52.9%, 2022년 기준)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측면에서 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2022년 체외수정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아시아 국가의 의료 관광 증가, 의료 지 출 증가, 불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상승 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체외수정 산업에서 지배력 을 유지하기 위해 주요 기업들은 지리적 시장 지배력을 높이고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해 소규모 기업을 인수하는 데 집중하는 전략을 나타내고 있다.
2) 시장 동향
시장 규모 및 전망
체외수정 시장의 가장 중요한 성장요인은 초산모의 평균연령 증가일 것이다. 미국의 초산모 평균 연령은 2018년 26.9세에서 2021년 27.3 세로 최고 기록을 경신하였다. 유럽의 경우도 초산모의 평균 연령은 2018년 29.4세에서 2021년 29.7세로 증가하였으며, 스페인과 이탈 리아가 31.6세로 가장 높은 연령을 기록하였고, 아일랜드와 스위스가 31.2세, 네덜란드가 30.3세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역시 33.5세로 매우 높은 편이다. 초보 산모의 평균 연령이 높아지면서 자연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여성이 증가할 것이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여성이 체외수정 치료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평균연령 증가가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타임 랩스(Time-lapse) 기술이 접목된 인큐베이터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배아 배양 및 선택(Embryo culturing and selection)은 체외수정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 다. 전통적으로 발생학에서는 배아 선택이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현미 경으로 형태학적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인큐베이터에 서 배아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방법은 배아 발 달 평가를 위해 배아를 이동해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타임 랩스 기술을 적용하 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타임 랩스 영상은 배아 발달을 분석하고 배아 발달에 대한 저속 기록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비침습적 배아 평가를 제공하게 된다. 영상 은 일정한 간격(사용된 방법에 따라 20분, 10분, 5분)으로 촬영되어 배 아의 발달 과정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아 선택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실온에서의 배아 노출을 최소화해 최상의 배아 상태를 유 지할 수 있어 임신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2021년 3월, 영국 애버딘 출 산 센터(Aberdeen Fertility Center)는 5~6일의 배아 배양 기간 동안 10분마다 자동으로 이미지를 캡처하는 새로운 저속 촬영 기술이 적용 된 인큐베이터를 설치하였고, 국내에서도 주요 병원의 난임센터에서 타 임랩스 기술이 적용된 장비를 도입하고 있다.
한편, 체외수정 치료비용은 상환 정책이 없어서 국가마다 다르다. 미국의 체외수정 1회에 해당하는 평균 비용은 11,000~12,000달러 수준이며, 부부가 3회 정도의 시술을 거치게 되면 본인부담금은 최대 33,000달러에 이르게 된다. 유럽의 체외수정 1회에 해당하는 평균 비용은 4,500~8,000달러 수준이다. 평균적으로 환자(40세 이하)의 2/3 가 6회 이상의 체외수정을 시도한 후에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 로 미루어 18,000~32,000 달러의 비용이 요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역시 시술비용은 회당 250만~500만원 수준으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치료비용은 일정 수준 시장 성장을 제한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종합적으로 체외수정 시장은 2022년 6 억 9,300만 달러로 추정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 7.2%로 2030년 에는 13억 7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