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R&D ISSUE BRIEF] GIS와 BIM 개념이 통합된 Web 기반 농업용 사회 기반 시설물의 디지털 트윈 시스템
- 등록일2024-06-12
- 조회수129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4-05-28
-
출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GIS#BIM#Web 기반 농업용#사회 기반 시설물
[R&D ISSUE BRIEF] GIS와 BIM 개념이 통합된 Web 기반 농업용 사회 기반 시설물의 디지털 트윈 시스템
◈본문
연구 배경
●GIS는 농업 분야의 다양한 지리적 정보 표현에 사용되었지만, GIS만으로는 넓은 면적의 모델을 제작할 때 지형, 농업용 사회 기반 시설물(저수지, 보, 수로 등) 등의 특정 지형을 상세하게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실제 농업 환경과 비교했을 때 사실감 부족
●특히 농업용 사회 기반 시설물의 재질, 규모, 유지 관리 이력 등 상세한 정보를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어 GIS를 활용한 농업용 사회 기반 시설물의 유지 관리 이력을 관리의 한계
●건설 분야에서 사용되는 BIM은 실제 구조물을 3D 모델로 생성하며 해당 모델 선택 시 특정 구조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 표현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존재
●기존 GIS의 정보 표현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BIM 개념과 통합된 디지털 트윈 생성으로 농업 환경의 정보 표현 방식 개선
연구 내용 및 결과
●현장 조사를 통해 수혜 지역 전반의 정보 수집
╺︎강원도 원주시의 흥업 저수지 수혜 지역을 테스트베드로 선정
╺︎UAV 활용한 수혜 지역의 전반적인 정보 수집 및 현장 조사로 수집된 세부 정보를 통해 수혜 지역의 디지털 트윈 모델 생성하여 모델의 현실성 향상
●BIM 개념이 융합된 디지털 트윈 모델과 GIS 통합
╺︎Web 기반 지리 정보 시각화 플랫폼 Cesium 활용하여 디지털 트윈 모델과 GIS 통합하며,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Web에서 정보 확인이 가능
╺︎디지털 트윈 모델을 통해 흥업 저수지 수혜 지역의 전체적인 모습과 다양한 특성(토지 이용 패턴, 주변 환경 등)을 고해상도로 재현
╺︎현장 방문 없이 농업 환경과 사회 기반 시설물의 정보를 해당 모델 선택 시 팝업 창을 통한 정보의 시각화로 문서나 텍스트 형식으로 기록되는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NRF R&D Brief 2024-20호] 난임과 고위험임신 간호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
다음글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한 세계 각국의 질병 대응 전략: 인공지능에서 해법을 찾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