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합성생물학 연구의 조직적 변화: 상향식 접근법을 발전시키는 이머징 이니셔티브
- 등록일2024-06-17
- 조회수1770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4-05-30
-
출처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원문링크
-
키워드
#합성생물학#생화학 모듈#기능적 생합성 시스템
- 첨부파일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합성생물학 연구의 조직적 변화: 상향식 접근법을 발전시키는 이머징 이니셔티브
◈본문
1.개요
■최근 합성생물학은 기존의 하향식(Top-down) 접근법에서 상향식(Bottom-up) 접근법으로 연구 패러다임이 전환됨
○(하향식 접근법) 살아있는 세포 또는 기능적 생물학 시스템을 분해하거나 존재하는세포에 새로운 기능을 장착하여 세포 내에서의 기능을 조사하는 접근 방식
○(상향식 접근법) 기존의 생화학 모듈을 재조합하거나 처음부터 제조하여 최소한의 기능적 생합성 시스템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데 초점을 둔 접근 방식
<합성생물학의 하향식(Top-down)/상향식(Bottom-up) 접근법>
○상향식 합성생물학(Bottom-up synthetic biology)이라는 키워드를 포함한 논문의 출판 수와 비율이 2007년 이후 꾸준히 증가함
<상향식 합성생물학이 포함된 논문의 출판 경향 (2007-2022)>
■최근 10년 동안 상향식 접근법의 합성생물학은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으로 크게 주목받음
○합성생물학이 거버넌스, 지식 생산 체제, 제도화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면서 사회과학자들과 과학기술학 학자들이 주목함
○그러나 상향식 합성생물학을 다루는 이니셔티브에 대한 사회적, 조직적 측면의 연구는 부족한 상황임
■상향식 합성생물학의 조직적 변화에 대한 동향과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5개 국가(독일, 영국, 미국, 네덜란드, 스위스)의 14개 연구 이니셔티브에 대해 조사
○전문가 문헌 검토, 서지학 연구, 온라인 자료 분석을 포함하는 다중 방법의 질적 연구(Multi-method qualitative study)를 기반으로 분석 수행
○상향식 합성생물학과 직접 관련된 출판물 수를 기준으로 이니셔티브 선정
○온라인 데이터의 가용성과 “상향식 합성생물학(Bottom-up synthetic biology)”이라는 제한된 키워드만 사용하였기에 방법론적 한계 존재함
2.국가별 합성생물학 이니셔티브 조사
<독일>
■독일의 상향식 합성생물학 연구 주요 동향
○장기간 자금 지원을 받은 연구센터의 논문들이 상향식 합성생물학 이니셔티브 구축에 영향을 미쳤으며 막스플랑크 연구소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국가 연구 네트워크를 통한 지속적인 지식 확산으로 학문적인 역량 확장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우수 클러스터를 통해 상향식 합성생물학이 의생명과학, 중개연구, 임상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줌
■막스플랑크 합성생물학 연구 네트워크(MaxSynBio)와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분자시스템공학 플래그십 이니셔티브(FI-EMS) 중심으로 연구 수행
○(막스플랑크 합성생물학 연구 네트워크, MaxSynBio) 2014년부터 활동한 다기관 연구 컨소시엄으로 상향식 합성생물학을 주요 연구 주제로 삼고 3개의 클러스터*와 3개의 주요 시설**로 구성됨
○분자시스템공학 플래그십 이니셔티브, FI-EMS) 2019년부터 독일 연구 재단(DFG)의 자금을 받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우수 클러스터에서 실행
╺︎분자시스템공학 연구소-하이델베르크(IMSE-Heidelberg)를 설립하여 분자공학 연구를 수행하고 막스플랑크 의학 연구소와 파트너십 형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6월호 테마 Genomics : The Secret Code of Biology] 3차원 후성유전체 분석법과 질병발병 기전에서의 임팩트
-
다음글
- [NRF R&D Brief 2024-23호] 인공지능을 활용한 글로벌 문제 해결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비용편익분석: '합성생물학 개발·실험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2024-10-07
- BioINwatch 합성생물학과 생체전자공학이 융합한 Living drug 2024-07-0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