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23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자료집

  • 등록일2024-06-25
  • 조회수1866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2023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자료집


◈ 목차

  • Ⅰ︎바이오소재 통계 개요

  • 1.개요

  • 2.조사체계


  • ⅱ︎바이오소재 관련 현황

  • 1.바이오소재관리기관현황

  • 2.바이오소재현황

  • 3.바이오소재 관리기관 인력 현황

  • 4.바이오소재 클러스터별 보존•관리 및 분양 추이 현황

  • 5.바이오산업관련현황


  • ⅲ︎바이오소재 실태조사 세부통계

  • 1.발굴•확보,보존•관리현황

  • 2.분양현황

  • 3.장비현황

  • 4.시설현황

  • 5.인력현황


  • ⅳ︎생명연구자원(바이오소재) 관련 자료

  • 1.국내 바이오소재 관리기관 목록(211 개 기관)

  • 2.자원별실물통계표준

  • 3.바이오소재관련용어설명

  • 4.국외주요국가별동향

  • 5.국내부처별동향

 

◈본문


  • Ⅰ︎바이오소재 통계 개요

1.개요

◍︎목적

⇀︎국가 차원에서 확보관리활용되고 있는 바이오소재 현황 파악

⇀︎바이오소재의 중장기 정책방향 수립 및 바이오 연구.산업 활용을 위한 통계정보 제공


◍︎작성기관

⇀︎(통계작성기관)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작성근거

⇀︎생명연구자원법 제19조 및 동법 시행령 제13조(통계조사 및 통계간행물의 발간


◍︎작성연혁

⇀︎ 2011년 국가생명연구자원 통계자료집 최초 발간

⇀︎ 2018년「생명연구자원통계(가공통계)」국가통계 승인(국가승인통계 제449001호)

⇀︎ 2022년「바이오소재통계(보고통계)」로 변경승인


◍︎작성주기 및 기준시점

-작성주기 : 1년(보고 기준시점 : 전년도 1월1일 -12월31일)


◍︎작성대상

⇀︎대상규모: 국내 바이오소재 관리 기관 및 기관의 보유 정보

⁕︎실물 소재의 확보관리•분양 정보,시설, 장비, 인력 등

⇀︎대상지역: 국내


◍︎결과 공표

⇀︎공표 주기 및 시기 : 1년(익년도 4월)

⇀︎공표 방법 : 인터넷 게시 및 통계간행물 발간

⇀︎공표범위(지역: 전국)

    - (항목) 바이오소재 관리기관(4개 항목),바이오소재 현황(4개 항목), 바이오소재 관리기관 인력 현황(1개 항목)


◍︎참고사항

⇀︎'제3차 국가 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 수립에 따라 기존 소재자원은행을 14대 소재

 클러스터(클러스터별로 '중앙은행-거점은행-협력센터' 체계)로 재편하여 운영

⁕︎매년 국내 바이오소재 관리기관의 수는 신규 기관 추가 또는 과제종료에 따른 감소 등으로 따라 달라질 수 있음


2.조사 체계

◍︎조사대상

⇀︎(조사주체) 14개 바이오소재 클러스터별 책임부처 및 중앙은행

⇀︎(조사대상) 바이오소재 분야의 211곳 소재자원은행 은행장 또는 종사자 등


◍︎조사절차

⇀︎ (정부) 과기 정통부가 관계부처와 협 의 하여 조사계 획 마련

⇀︎(지원기관) 지원기관(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 연구자원 정보센테은 클러스터 별 중앙은행 및 소재자원은행과 협력 하여 조사                         실시,결과 정리

⁕︎(절차) 과기정통부 →︎ 해당 책임부처 →︎ 해당 중앙은행 또는 소재자원은행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 바이오소재 실태조사 입력 시스템 구축(2021년 조사부터 적용)


[통계작성체계도]

[통계작성체계도]


◍︎조사(작성) 방법

⇀︎바이오소재 관리기관 소속 종사자를 대상으로 바이오소재 실태조사 입력 시스템에 현황 자료 입력 요청

   ⁕︎입력에 대한 안내 동영상, 이메일, 전화를 통한 입력 지원 병행


◍︎작성 항목

⇀︎국내 바이오소재 관련

-바이오소재 관리기관 현황, 바이오소재 현황*, 관리기관 인력 현황 등

*자원별(동물, 식물, 미생물, 인체유래물) 실무위원회를 통해 마련한 실물통계표준(2016년 제정)을 기준으로 작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