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연구산업 이슈페이퍼] 공공연구성과를 활용한 출연(연) 협업 기반 프로토타이핑 제작 우수 사례
- 등록일2024-08-13
- 조회수965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7-31
-
출처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공공연구성과#프로토타이핑#R&D
[연구산업 이슈페이퍼]
공공연구성과를 활용한 출연(연) 협업 기반 프로토타이핑 제작 우수 사례
◈본문
●︎연구배경 및 목적
■︎GDP 대비 세계 2위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수준의 R&D 투자로 창출된 논문·특허 등 R&D 성과의 양적 성장에 견주어 볼 때 R&D 성과 활용을 통한 경제·사업화 성과의 질적 성장 필요
■︎R&D 성과를 활용한 사업화 등 경제적 성과의 질적 성장을 위해 기술을 고도화하는 스케일업(Scale-up) 단계의 중요성 부각
■︎출연(연)과 프로토타이핑전문기업 협업을 통한 시작품 제작 사례 분석을 통해 R&D 성과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스케일업(Scale-up) 단계에서 시작품 제작 지원의 효과성 연구 필요
■︎공공연구성과 시작품 제작을 지원하는 ‘프로토타이핑전문기업육성사업’ 및 출연(연) 시작품 지원 현황, 출연(연)과 전문기업 협업을 통한 우수 지원 사례 분석하여 공공연구성과 시작품 제작 지원 효과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 도출
●︎프로토타이핑전문기업육성사업 개요
■︎2021년부터 공공연구기관 보유 연구성과의 시작품 제작 지원을 통한 신속한 성능 검증 및 시작품 제작 연구개발서비스 제공 전문기업 육성을 목표로 추진
※ (기술사업화측면) 공공연구성과 시작품 제작 지원을 통한 신속한 성능 검증 및 기술가치 제고, (전문기업 육성 측면) 공공연구성과 시작품 제작 경험 축적을 통한 시작품 제작 서비스 역량 강화 및 연구산업 생태계 확산
■︎시작품 제작 지원 인프라와 전문인력을 보유한 기술인큐베이터 역할을 수행하는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과 시작품 제작을 담당하는 전문기업의 컨소시엄으로 과제 수행
■︎다양한 공공연구성과 검증을 위한 시작품 제작에 필요한 인프라 지원과 시작품 제작 서비스 역량강화 R&D를 동시에 지원
■︎공공연구성과 수요기반 시작품 제작 지원을 기술사업화 추진 이외에 시작품 제작 서비스 역량 강화 R&D를 모두 지원하고 있어 다양한 성과 창출 가능
※ (기술적 성과) 시작품 제작 건수, 특허 등 지식재산권 확보, 시작품 제작 서비스 기술 또는 Tool 확보, (경제적 성과) 기술이전, 창업 등 기술사업화 성과
■︎창업 조력자로서 스타트업을 포함한 중소기업의 시제품 제작에 중점을 두는 유사 사업과 달리 동 사업은 실험실 공공연구성과를 수요기업으로 연결(브릿지)하고 수요자와 공급자를 모두 지원하는 점에서 차별화
※(브릿지 역할) 공공 연구성과에 대한 시작품 제작을 지원하여 신속한 성능 검증을 통한 공공기술(연구자)과 시장(수요기업)의 Gap(간극)을 줄여 수요기업으로 연결
※(수요자-공급자 양방향 지원) 대부분 시작·시제품 지원 사업은 중소기업 등 서비스 수요자를 지원하며, 공급자(시작품 제작 전문기업)에 대한 지원은 인프라 등 간접 지원 중심인 반면 동 사업은 시작품 제작 전문기업의 역량 강화 위한 R&D를 직접 지원
●︎ 출연(연) 시작품 제작 지원 현황
■︎다수의 국내 대학 및 출연(연)에서 보유하고 있는 시작품 제작 관련 시설・장비와 오퍼레이터 등 전문가들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중
※ 2022년 ZEUS 등록 장비 기준 국내 대학(1,421식 보유), 출연(연)(625식 보유)하고 있으며 90% 이상 장비운영 전담인력(오퍼레이터) 배치하여 지원
■︎교육과 연구에 역할이 집중된 대학과 달리 산업 경쟁력 강화의 임무를 보유한 출연(연)이 외부에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 역할 지원 중
※ (ETRI) 외부 공모를 통해 선정한 시작품 제작 장비 운영기관인 민간기업과 협력하여 ICT 분야 중소‧중견기업에게 시작품 제작 지원, (생기연) 중소기업해피클릭(기업지원전용홈페이지) 서비스 통해 각 분원에서 지역 특화분야에 맞춰 시작품 제작 지원
●︎출연(연)-프로토타이핑전문기업 협업 우수 사례
■︎ETRI는 2011년에 설립된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를 중심으로 공공기술과 민간 기업의 시작품 제작 지원을 통한 기술사업화 촉진 및 시작품 제작 전문기업 경쟁력 향상을 지원
■︎2021년 프로토타이핑전문기업육성사업에 참여하여 “공공연구성과 시작품 제작 지원 체계”를 정립하여, 수요 기술 발굴에서부터 시작품 제작 및 성능검증, 이를 이용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전문기업 육성 및 역량 강화 체계적 지원※ 총 5개 시작품 제작 전문기업과 컨소시엄으로 43건의 공공연구성과 시작품 제작 지원하여 17건(정액기술료 4.35억)의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
■︎ETRI와 시작품 제작 전문기업의 협업을 통한 3가지 유형의 시작품 제작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해 공공연구성과의 시작품 제작 완성도 제고와 기술사업화 가능성을 높이는 출연(연)과 시작품 제작 전문기업 역할과 시작품 제작 지원 필요성 도출
1) 공공연구성과 시작품 제작 지원을 통한 기술이전 성과 창출 사례 2) ETRI와 시작품 제작 전문기업 협업을 통한 시작품
제작 지원 사례 3) 프로토타이핑전문기업 시작품 제작 서비스 전문역량 강화 사례
●︎시사점
■︎연구개발 기초단계에서 창출되는 공공연구성과의 시작품 제작 지원은 실험실 단계에서 연구개발 성과를 신속하게 검증을 통해 실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성능 검증 결과를 토대로 후속 개발 및 사업화로 연계하는 점에서 지속적 지원이 필요
■︎프로토타이핑전문기업육성사업은 공공연구성과의 시작품 제작 지원을 통해 연구자가 사업화 과정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역량강화 R&D를 통한 전문기업 육성을 동시에 지원하는 점에서 기존 사업과 차별화
■︎산업 경쟁력 강화의 임무를 맡고 출연(연)은 우수한 인력과 다양한 연구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공공연구성과 시작품 제작을 지원할 수 있는 최적의 인프라 보유
■︎공공연구성과의 신속한 기술 구현 및 성과 검증을 통한 기술사업화 촉진을 통한 R&D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시작품 제작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출연(연)-프로토타이핑전문기업 협업을 통한 시작품 제작 지원 지속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4년 7월호] OECD, '첨단재료:나노캐리어 사례 연구' 워크숍 보고서 발간
-
다음글
- [NRF R&D Brief 2024-30호] 2024 신흥 기술 top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