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식의약 RnD 이슈보고서 - 바이오플라스틱
- 등록일2024-09-24
- 조회수1506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24-08-30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플라스틱#생분해성플라스틱#바이오매스플라스틱
바이오플라스틱
식의약 RnD 이슈보고서
◈ 목차
1장.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이해
1.1 바이오플라스틱의 개념
1.2 바이오플라스틱 연구개발의 필요성
2장. 바이오플라스틱 최근 동향
2.1 바이오플라스틱 산업 동향
2.2 바이오플라스틱 제품·서비스 동향
3장. 바이오플라스틱 기술개발 현황
3.1 바이오플라스틱 특허 동향
3.2 바이오플라스틱 연구 동향
4장. 바이오플라스틱 정책 동향
4.1 국외
4.2 국내
5장.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이슈
6장. 고찰 및 시사점
7장. 전문가 기고문
7.1 식품 포장과 바이오플라스틱
7.2 바이오플라스틱 식품포장재의 이슈와 전망
◈본문
01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이해
1.1 바이오플라스틱 개념
[바이오플라스틱 정의]
■바이오플라스틱이란 생명공학 기반 기술을 통해 생산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Biodegradable plastics)과 바이오매스 플라스틱(Bio-based plastics)을 의미함.
●바이오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의 폐기 부문(생분해)에 초점을 맞춘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생산 부문(바이오매스 원료)에 중점을 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으로 구분됨.
●(생분해성 플라스틱) 자연계에서 미생물에 의해 물, 이산화탄소, 토비와 같은 천연 물질로 전환되는 플라스틱으로, 바이오매스 함유 여부는 무관하며, 규격 기준에 따라 표준물질인 셀룰로스 대비 6개월에 90% 이상 분해되어야 함.
-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유통기한이 짧은 제품이나 일회용품에 주로 적용되며, 유통 중 분해 가능성, 낮은 단가, 물성 약화, 가공 취약성 등이 산업화에 장애물로 작용.●(바이오매스 플라스틱) 재생가능한 자원(바이오매스)으로부터 만들어진 플라스틱으로, 옥수수나 사탕수수와 같이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물에서 생산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며, 생분해 여부와 무관하나 식물체 기반 바이오매스가 20~25% 이상 함유되어야 함.
-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생산 시 탄소 발생이 적고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강도와 내수성 측면에서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음.
[표 1] 바이오플라스틱 분류 및 특징
[바이오플라스틱 종류]
●플라스틱을 원료와 생분해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 시, 아래 표와 같이 분류될 수 있음.
╺︎(바이오매스 기반 원료/난분해) 주사용 원료는 옥수수나 사탕수수 등이며, 기존 제품 대비 약한 물성을 나타내지만 제조과정에서 탄소배출량이 약 70% 정도 저감되는 효과가 있음.
╺︎(바이오매스 기반 원료/생분해) 주사용 원료는 옥수수나 미생물 등이며, 제조과정에서 탄소배출량 저감과 함께 생분해된다는 장점을 가져 높은 순환성을 나타냄.
╺︎(화석 연료 기반/난분해) 기존 플라스틱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하며, 분해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바이오플라스틱에 해당하지 않음).
╺︎(화석 연료 기반/생분해) 원재료 가격이 바이오매스 대비 저렴하고 분해가 가능해 기존 플라스틱 대비 대체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지만, 제조과정에서 탄소배출량이 높다는 단점이 있음.
[표 2] 유형별 플라스틱 종류
*보고서 본문에서는 편의상 플라스틱 관련 용어를 약어로 기재하였으며, 별지에 용어의 정식 명칭을 제시하였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