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연속혈당측정 기술, 웨어러블 기기 혁신 촉발할까
- 등록일2024-10-07
- 조회수2021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4-09-13
-
출처
글로벌ICT포털
- 원문링크
-
키워드
#연속혈당측정기#비침습적혈당센서#웨어러블기기#인공지능기술#CGM
연속혈당측정 기술, 웨어러블 기기 혁신 촉발할까
[글로벌 ICT 동향]
◈본문
COVID-19 팬데믹 속에서 웨어러블 기술의 도약
COVID-19 팬데믹은 의료 부문 내 웨어러블 기술의 채택 및 발전을 가속화한 것으로 평가되는데, 실제 전 세계적으로 전례없는 질병이 발생함에 따라 바이러스 전파 위험을 방지하고, 치료를 지속하기 위한 원격 의료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확인됨. 이러한 원격 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기술의 발전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연속혈당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는 혈당 수치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당뇨병을 관리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도구로 부상함.
의료용 웨어러블 기술은 단순 활동 추적기에서 정교한 건강 모니터링 장치로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의 통합은 상호작용 및 지능적인 웨어러블 장치의 새로운 시대를 개척하여 향후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것으로 평가됨.
美 FDA가 승인한 연속혈당측정기(CGM) 출시 및 글로벌 경쟁 증가
미국 의료기기 제조 기업 덱스콤(Dexcom) 및 애보트(Abbott)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승인 절차가 완료된 CGM을 각각 출시하였으며, 동 CGM은 처방전 없이도 구입이 가능하도록 허용됨.
(덱스콤) 덱스콤은 2024년 8월 신규 CGM인 ‘스텔로’(Stelo)를 공식 출시하고, 온라인에서 판매를 개시하였는데, 이는 보다 많은 소비자들이 CGM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됨. 동 기기는 인슐린을 복용하지 않는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환자들에 초점을 두고 개발됨.
(애보트) 애보트는 2024년 9월 인슐린을 복용하지 않는 성인을 대상으로 혈당 수치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링고’(Lingo)를 출시하였는데, 동 기기는 전통적 당뇨 관리용 CGM과는 달리, 사용자들의 음식, 운동, 수면, 스트레스 등에 대한 신체 반응을 기록하고 보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촉진하는 기능을 보유함.
한편, 여타 의료기기 제조기업 아폰 테크놀로지(Afon Technology)는 ‘스텔로’ 및 ‘링고’에 앞서 비침습적 혈당 센서 기술을 활용한 CGM인 ‘글루코웨어’(Glucowear)를 개발하였으나, 현재까지 상용화되지는 않은 상황임.
CGM 시장은 향후 4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약 200억 달러(약 26조 8,0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번 FDA의 승인은 일반 국민들의 CGM에 대한 접근성을 보다 개선시켜 향후 시장 성장 전망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됨. 앞서 언급된 대표적 2개 기업(덱스콤 및 에보트) 외에도, CGM 개발 스타트업인 시그노스(Signos), 뉴트리센스(Nutrisense), 레벨스 헬스(Levels Health) 등은 보건 및 스포츠 산업 분야에서 CGM을 활용한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음.
비침습적 혈당 센서, 웨어러블 기술의 새로운 혁신
비침습적 혈당 센서 기술은 전통적인 침습적 방식과는 달리 손가락 채혈 또는 피하센서바늘(subcutaneous sensor needle)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당뇨병 환자로 하여금 더욱 편리하고 개선된 방식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음. 또한, 스마트 워치 형태로 설계되어 착용이 간편하고, 일상적인 활동에도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며, 특히,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 변화 등 중요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이는 의료진과 데이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맞춤형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한편, 당뇨병 기술 및 치료(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저널에 발표된 연구는 비침습적 혈당센서 기술을 활용한 CGM이 ▲저혈당증(hypoglycemia) 및 고혈당증(hyperglycemia)의 위험을 줄이고, ▲혈당 변동성(glycemic variability)을 최소화하며, ▲궁극적으로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데 큰역할을할것이라고강조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차세대 플랫폼, 오가노이드 암, 희귀질환 연구, 약물 스크리닝에 독보적 활용 차세대 혁신 치료제로써, 오가노이드 주목
-
다음글
- 신약모달리티 개발동향 분석 – RNA 치료제 1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