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인수공통감염병 백신 연구개발 동향 정보집 발간
- 등록일2024-10-22
- 조회수1111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4-09-30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수공통감염병#감염병#백신
인수공통감염병 백신 연구개발 동향 정보집 발간
◈ 목차
1.배경
2.인수공통 감염병 백신의 개요
3.바이러스성 인수공통감염병
4.세균성 인수공통감염병
5.기생충성 인수공통감염병
◈본문
제1장 배경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은 동물과 사람 사이에서 상호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일컫는다. 인수공통감염병을 유발하는 병원체로 기생충부터 세균, 바이러스 및 프리온의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인수공통감염병의 전파를 매개하는 숙주동물/매개동물 또한 병원체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최근, 급속한 산업화 및 인구 증가에 따른 동물과 인간의 서식지 공유, 기후변화로 인한 매개동물 서식지의 변화, 반려동물 인구의 증가, 이동수단의 발달로 인한 사람-사람, 사람-동물 사이의 접촉 빈도 증가 등의 요인들이 모두 새로운 인수공통감염병의 출현 및 유행을 촉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대응전략 마련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천연두, 흑사병 등의 창궐부터 코로나19 대유행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인수공통전염병들이 인류의 역사와 함께하며 인류 보건을 위협해 왔다(그림 1).
그림 1. 세계 주요 인수공통감염병 발생현황
(출처 : Environ Sustain (Singap). 2021. 4(3), 455-467 .)
세계동물보건기구(OIE/WOAH, 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에 따르면, 전체 감염병의 60%가 동물로부터 유래하였으며, 특히 신변종 감염병의 경우에는 인수공통감염병이 전체의 75%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ttps://www.woah.org/en/what-we-do/global-initiatives/one-health/), 최근 전 세계적인 공중보건 위험을 초래하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에볼라 바이러스 출혈열(Ebola disease) 등의 감염병이 모두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파된 인수공통감염병이며,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COVID-19로 인해 인수공통감염병 관련 연구에 대한 중요성 및 시급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고 있다.
기존 감염병의 재출현 상황 및 새로운 감염병의 유행 시 급속한 전파에 의한 사회적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엇보다 신속한 대응 전략의 마련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감염병의 대응을 위한 핵심적인 대응 방안은 진단, 백신, 치료제의 확보이며, 이들 중에서도 질환으로 인한 인적 손실의 해결과 직결되는 요소는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다.
인수공통감염병의 원인 병원체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숙주 생물체의 공유를 통해 재출현의 가능성이 상존하는 특성상, 치료제의 이용은 박멸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백신을 통한 예방 전략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본 정보집을 통하여 바이러스성 인수공통감염병 18종, 세균성 인수공통감염병 11종 및 기생충성 인수공통감염병 7종 등 주요 인수공통감염병 36종에 대한 병원체 개요, 연학적 특성 및 발생 현황, 병리학적 특성, 국내외 백신 개발 현황, 표준물질(또는 참조물질) 정보, 비임상 효능평가 등의 최신 동향을 파악, 분석하여 백신 개발자와 연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국민보건 안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인수공통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의 개발 촉진과 국가적 대응 역량 확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