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12-2022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
- 등록일2024-10-24
- 조회수1392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4-10-07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피인용상위논문#국제협력연구#학술지영향력#한국연구성과
2012-2022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
◈ 목차
1.요약문
2.서론
3.분석개요
4.분석데이터의 이해
5.피인용 상위 1% 논문 국제비교
6.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본문
요약문
01 분석 목적
◆고 피인용 논문(피인용 상위 1% 등) 산출실적에 대한 국제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기초·원천연구의 수준과 역량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02 분석 대상
◆최근 11년 간(2012년~2022년) 발표된 SCI 논문 중 피인용 상위 1% 논문(Highly Cited Paper) 194,906건(ESI 2023.03. 기준)
※ 본 보고서에 수록된 고 피인용 논문은 최근 11년 동안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22개 분야 및 연도별 피인용수를 기준으로 추출함 (ESI: Clarivate Analytics 社 Essential Science Indicators DB)◆피인용 상위 1% 논문 수 상위 20개국 중심으로 비교·분석
03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수는 세계 14위(교신저자 기준 세계 12위)
●최근 11년 간 7,215건(점유율 3.7%)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을 게재함
- 이 중 교신저자가 한국기관 소속인 논문은 3,781건(점유율 1.9%)으로 세계 12위●’11년-’21년 피인용 상위 1% 논문 국가 순위와 동일, 교신저자 순위는 14위에서 2 단계 상승
●미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81,677건으로 점유율이 41.9%에 달함
<최근 11년 간(2012~2022년)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수·점유율>
◆ 한국의 상위 1% 논문 점유율은 최근 11년 간 약 1.3배 증가
●한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은 2012년에 2.9%에서 2022년 3.9%로 약 1.3배 증가하여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지난 11년 간 중국의 상위 1% 논문 점유율은 약 3.2배 증가하였으나, 같은 기간 동안 일본의 점유율은 뚜렷한 증감을 보이지 않음
<한중일의 연도별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 변화 추이>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