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스마트 노인돌봄 기술: 첨단기술의 적용과 국제적 동향

  • 등록일2024-11-01
  • 조회수2258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스마트 노인돌봄 기술: 첨단기술의 적용과 국제적 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29]

 

◈ 목차

  • 1.FOCUS

  • 2.의료서비스

  • 3.디지털헬스케어

  • 4.제약•︎의료기기•︎화장품

  • 5.고령친화산업

 

 

◈본문


스마트 노인돌봄 기술: 첨단기술의 적용과 국제적 동향


스마트 노인돌봄 

  • 스마트 노인돌봄이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노년층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함. 이는 기존 노인돌봄의 시‧공간의 제약과 서비스의 장벽 극복하고, 양방향 노인돌봄서비스 방식을 구현하며 다각화된 서비스 모델을 창출하는 체계적인 프로젝트임 

  • 주로 △만성질환관리 △재택 노인돌봄서비스 △건강관리 △생활돌봄 △온라인 상담 등을 지원하며 노인을 위한 포괄적인 건강관리와 생활지원, 효율적인 의료 및 보건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함 

  • 노인의 기본적 욕구인 △안전 △보안 △의료 △일상생활 지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현대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가족, 지역사회, 관련 기관을 연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시스템 전체를 연결하고 최적화하여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시장동향 

  • 전 세계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스마트 노인돌봄 솔루션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글로벌 연구기관 베리파이드 마켓 리포트(Verified Market Reports)1)에 따르면, 스마트 노인돌봄 시장은 2024년 기준 향후 5년 동안 약 18%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 가치가 700억 달러(한화 93조 4,374억 원)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함 

  • 글로벌 연구기관 팩트.MR(Fact.MR)2)은 시장이 2022년에 433억 8,000만 달러(한화 57조 9,044억 원)규모일 것으로 평가했으며, 2023년부터 2033년까지 5.8%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함 

  • 또한, 스마트 노인돌봄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글로벌 연구기관 마켓 리서치 인텔렉트(Market Research Intellect)3)는 시장 규모를 2024년에 1,062억 2,000만 달러(한화 141조 7,845억 원)로 평가했고, 2023년부터 2031년까지 6.54%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이며 2031년까지 약 1,552억 6,000만 달러(한화 207조 2,441억 원)의 시장 규모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함 

  • 유사하게 글로벌 연구기관 스트레이트 리서치(Straits Research)4)는 글로벌 스마트 홈 헬스케어 시장 규모에 대해 2022년 49억 5,000만 달러(한화 6조 6,073억 원)로 평가하고, 2023년부터 2031년까지 8.95%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이며 2031년에는 107억 1,000만 달러(한화 14조 2,959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함 

1)Linked in, 2024.09.26. 2)Fact.MR, 2022.12. 3)Market Research Intellect, 2024.10. 4)Straits Research, 2024.08.06.


스마트 노인돌봄 핵심 기술 

IoT 기술 

  • 노인용 IoT 기기는 스마트기기와 센서를 통해 노인의 주변 환경을 지능적으로 관리하고 노인들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긴급상황을 적시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음 

노인을 위한 IoT 


[자료] Dusun, Mesida 


빅데이터와 AI 

  • 빅데이터와 AI를 통해 노인의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질병위험을 예측하고, 개인별 건강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의료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음. 또한, 노인 스스로 AI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자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음 

노인을 위한 빅데이터 및 AI 


[자료] 한국건강증진개발원, 搜狐 


원격의료서비스 

  • 원격의료를 통해 노인들은 이동하지 않고 집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의료부담을 줄일 뿐만 아니라 의료 제공자의 효율성을 향상시킴 

노인을 위한 원격의료서비스 사례 


[자료] Health Call, 더메디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