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 연구개발 현황
- 등록일2024-11-11
- 조회수344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4-10-31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표적항원발굴및항체공학#링커안정성#페이로드개발#접합기술혁신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 연구개발 현황
[주요국 의약품 규제 동향 정보집(제14호)]
◈ 목차
14-1호
1.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 연구개발 현황
2.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 현황
3.의약품 허가제출자료에 in silico 모델링 포함 사례
...
◈본문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 연구개발 현황
|
1. 서론
●암치료제로서의 화학요법제 중 세포독성 항암제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꾸준히 사용되어 있다. 고전적인 화학요법은 DNA 합성 또는 세포 대사를 저해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사용하여 종양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격하거나 세포 분화 및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연구개발현황 항체-약물 접합체,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허가자료에 in silico 모델링 포함사례제14호 2024. 10. 2 증식을 억제하여 종양세포를 사멸시킨다. 이러한 약물 작용기작에 근거하여 세포독성 항암제라는 명칭으로 분류된다.
●세포독성 항암제는 작용기작상 암세포 뿐 아니라 정상세포도 공격하기 때문에 심각한 부작용을 무질환 생존율로 대표되는 치료성공률이 낮다. 따라서 항암 신약개발의 미충족의료수요는 정상세포 대비 종양세포 선택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종양세포 표적화 능력은 단일클론항체 의약품에서 구현되었는데, 이들은 매우 정교한 항원-항체 면역반응에 근거한 항체의 표적(즉, 항원)특이성에 착안하여 인위적으로 디자인된 항체이다.
●1975년에 개발된 하이브리도마(hybridoma; 사람 암세포와 항체생산 형질세포의 접합형) 항체 생산법 덕에 우수한 균질성과 항원 결합능을 보유한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생산 효율이 증가하면서 수 많은 mAb 의약품이 기존의 저분자 화합물로는 접근할 수 없었던 다양한 암 및 자가면역 질환 등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mAb의 종양세포 표적능과 세포독성 저분자 화합물의 세포 살상 능력을 결합한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는 항체가 세포독성 항암제를 정상세포 대비 종양세포에 특이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써, 세포독성 저분자 화합물의 치료영역(therapeutic index; TI)를 늘려 부작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ADC의 작용 기전 및 구조적 특징은 본 기고문의 2장을 참고하기 바란다.
●ADC 신약 개발은 약물의 구조 자체에 내재하는 기술적 복잡성 및 제조의 난이성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의약품 모달리티에 해당한다. 또한 비임상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연구개발현황..3및 임상시험의 난이도 또한 다른 종류의 모달리티 의약품 및 적응증 질환 대상 의약품 개발시보다 난이도가 높다.
●FDA의 승인을 받은 첫번째 ADC는 Pfizer의 Myotarg (Gemtuzumab ozogamicin; 2000년)이며, 이후 현재까지 총 13개의 FDA 승인을 받은 ADC가 출현하였다. FDA 승인을 받은 ADC 의약품의 구성 요소, 적응증 및 기술적 특징은 본 기고문의 3장을, 새로운 ADC의 연구개발 현황은 본 기고문의 4장을 참고하기 바란다.
●전 세계적인 암 발병률의 증가와 더불어 ADC 시장 역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2040년까지 매년 2,750만 건의 새로운 암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며1), ADC 연구개발 활동 증가, 신규 ADC 승인 증가, 새로운 표적치료제 개발 등이 ADC 부문의 성장을 이끄는 핵심요소이다.
●Myotarg의 경우, ADC로서 기대했던 낮은 부작용이라는 장점이 구현되지 않아 시장에서 자진철회하였다가 저용량으로 2017년 재출시되었다. 이렇게 ADC도 초기에는 매출면에서 부진하였으나 그 효능이 점차 입증되면서 2019년 이후 여러 ADC가 시장에 나오면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확대하고 있다.
●다이치 산쿄의 Enhertu (Trastuzumab + deruxtecan)는 출시후 3년만에 12억 3,400만불 매출액을 달성하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여주었다. 2023년 ADC 시장 규모는 97억불로서 2022년 73억불 대비 30% 성장하였으며 2028년에는 그 시장규모가 300억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2)
1) “Cancer Facts & Figures 2024” Atlanta; American Cancer Society American Cancer Society.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