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미국 농촌 병원, 디지털헬스 도입으로 치료 및 재정 강화
- 등록일2024-11-20
- 조회수583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자료발간일
2024-11-04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헬스#원격의료#의료접근성#AI진단
미국 농촌 병원, 디지털헬스 도입으로 치료 및 재정 강화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32]
◈ 목차
1.FOCUS
| 미국 농촌 병원, 디지털헬스 도입으로 치료 및 재정 강화2.의료서비스
3.디지털헬스케어
4.제약∙︎의료기기∙︎화장품
5.고령친화산업
◈본문
미국 농촌 병원 현황
미국 농촌 병원 현황
●미국 농촌 병원은 미국 인구의 약 15%를 담당하며 대형 의료시스템처럼 재무관리, 규제보고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폐쇄 △감소하는 재정 지원 △운영 수익 감소 △인력부족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지난 15년간 지속적인 위기에 처해 있음
●△고령화 △건강 악화 △소득 저하 등의 사회적 문제와 더불어 공공보험인 메디케어(Medicare) 및 메디케이드 (Medicaid) 환자의 비율이 높아지는 반면 감소되는 보상으로 재정적 압박이 계속되며 의료사막화(Medical Desert) 현상이 확대되고 있음
농촌 병원의 운영 적자
●현재 미국 농촌 병원의 50%가 운영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43%에서 증가한 수치임
●다른 대형 병원이나 의료시스템에 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농촌 병원의 55%가 적자를 보고 있으며, 대형 병원이나 의료네트워크와 연계된 농촌 병원은 42%가 적자인 것으로 보고됨
●특히 캔자스 주의 경우 99개의 병원 중 89%가 적자이며, 뉴욕과 와이오밍 주도 각각 83%, 버몬트 주는 75%, 앨라배마 주는 74%가 적자인 상황임
주별 농촌 병원의 적자 운영 비율
[자료] CHARTIS
인력 부족 문제
●미국의 농촌 병원 의사는 12년 내에 37,800명에서 124,000명에 달하는 의사 부족 문제가 예상되는 등 의사 부족 문제가 심각함
●이는 의료진의 업무 부담 과중과 농촌 병원의 낮은 지원율로 만성적인 인력 부족에 시달리게 함
●예를 들어, 엘버턴 메디컬 센터(Elberton Medical Center)는 조지아주의 농촌 지역을 위해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지역 주민들 중 약 70%가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수혜자이나 병원에서 일하는 의사는 단 6명, 간호사 인력은 2명에 불과함
IT 시스템 유지 및 보완 문제
●농촌 병원은 도시 병원보다 재정적으로 취약하고 더 작은 규모로 운영되기에, 랜섬웨어 공격을 받을 경우 병원의 운영 중단과 그로 인한 재정적 손실이 병원의 지속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침
●농촌 지역의 환자들은 주로 연령대가 높고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 사이버 문제로 농촌 병원이 운영 중단될 경우 환자들이 인근의 다른 병원으로 이동해야 하는데, 평균 이동 시간이 30분 이상으로 도시 간 병원에 비해 이동성과 접근성이 떨어짐
●또한, 농촌 병원은 대형 의료시스템에 속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 및 복구에 필요한 자원과 지원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움. 따라서 랜섬웨어와 같은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역 병원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지만, 경쟁 관계로 인해 협력이 쉽지 않음
농촌 병원에서의 디지털헬스 도입 개요
●병원의 디지털헬스 도입은 의료서비스의 혁신을 촉진하며 환자진료를 보다 효율적이고 개인맞춤형으로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디지털헬스 기술은 병원의 의료진과 환자 간의 소통을 강화하고 진단 및 치료의 정확성을 높이며,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하게 함
●특히, △AI △머신러닝 △원격 모니터링 등 디지털 기술은 환자의 건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최적의 진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 이러한 기술의 도입은 특히 농촌 지역의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병원 운영의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
【병원에서의 디지털헬스 도입 시 효과】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