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SPRIN-D 및 ARIA 연구동향

  • 등록일2024-11-28
  • 조회수717
  • 분류기술동향

 

 

SPRIN-D 및 ARIA 연구동향

 

◈ 목차

  • 1.작성배경

  • 2.독일 SPRIN-D의 연구 동향

  • 3.영국 ARIA의 연구 동향

  • 4.결론 및 시사점

 

◈본문

  • 최근 독일과 영국에서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미국의 DARPA와 유사한 파괴적 혁신 연구지원기관 설립 및 지원

  • 미국은 국가 경쟁력의 기반인 과학기술적 우위를 강화하기 위해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58)을 운영하여 ‘DARPA-hard Niche’ *의 영역에 속하는 과제를 수행하며 GPS, 무인 항공기 등과 같은 혁신적인 성과들을 도출
    *국가 전략 또는 산업 경쟁력 차원에서 아주 중요하지만, 개발 실패의 큰 위험성, 자금 부담 등의 문제로 대학, 기업 등 민간 연구 조직에서 다루기 힘든 과제

  • 최근 유럽에서도 美 DARPA 모델을 모방하여 파괴적 혁신을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한 연구 전담기관을 설립・지원하는 등 선도적 지위를 유지하고 격차를 벌리려고 노력 중
    - 독일 정부는 급진적인 기술 및 시장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신속한 기술 개발과 시장 변화형 혁신을 지원하고자 파괴적 혁신을 위한 연방 기관(SPRIN-D)* 설립 
    *독일 SPRIN-D(Federal Agency for Disruptive Innovation, ’19) 
    - 영국 정부는 코로나 사태와 브렉시트(Brexit)의 변화 속에서도 과학기술 전반의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연구・혁신 시스템 구축 등을 노력하고 있으며, 최근 혁신을 넘어 급진적 기술을 근본적으로 육성하고 구현하는 고위험・고수익 연구지원기관인 고등연구발명국 (ARIA)* 출범 
    *영국 ARIA(Advanced Research and Invention Agency, ’23) 

  • 우리나라도 그간 기술 주권 확보를 위해 추격형 전략에서 선도형(First-Mover) 연구개발로의 촉진을 위한 혁신적・도전적 R&D 지원체계 구축 등 노력

  • 혁신・도전형 R&D 촉진을 위한 법령과 정책*을 마련하고, 다양한 R&D 프로그램**을 추진
    *(법령) 도전적 연구개발 촉진 규정(과학기술기본법 제15조의2,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 제20조) (정책) 임무중심R&D 혁신체계 구축 전략(’22), 혁신적・도전적 R&D 육성시스템 체계화방안(안)(’24) 등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산업부, ’19~),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사업(방사청, ’19~), 혁신도전 프로젝트(과기부, ’20~), 한계도전프로젝트(과기부, ’24~) 한국형ARPA-H프로젝트(복지부, ’24~) 등

  • 최근에는 세계 최고・최초를 지향하는 혁신적 R&D 구현을 위해 「혁신도전형(APRO) R&D사업군」 선별 등 통합적・효율적 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노력 중

 < 혁신도전형 R&D 브랜드 : APRO >

  • 지난 60여년간 추격형 전략에서 앞으로 선도형으로 전환하기 위한, “지금껏 과감히 시도해보지 않은 유형 확산”으로 대한민국 R&D 체질 개선 기대

(사업명) APRO

(앞으로, 이태리어로 ‘문을 열다’는 뜻, 대한민국의 미래를 여는 유형, 앞으로 먼저 나아가는 first mover가 되는 전환 의미) 

* Aim high, Problem-solving, Revolutionary, Over & over 

  • APRO R&D 조건(A.P.R.O)


※ 과감한(high) 목표제시가 없거나, 명확한 문제해결이 아니거나, 한번쯤 들어본 방식이거나, 고비용으로 무난하게 되는 아이템은 제외(기존 R&D 단가 대비 10배 지원 & 1000배 성과)

[그림 1] 혁신도전형(APRO) R&D 제도 개요 

※ 출처: 2024년도 제2차 혁신도전형(APRO) R&D사업군 지정(안)(2024. 6. 5.)

  • 본 브리프에서는 그동안 많이 분석된 미국 DARPA 사례 이외에 독일과 영국의 파괴적 혁신 연구지원기관의 연구 동향을 국내 최초로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가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으로 활용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