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노벨과학상의 핵심연구와 수상연령
- 등록일2024-12-02
- 조회수72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11-18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노벨과학상#핵심연구#수상연령#연구기간
노벨과학상의 핵심연구와 수상연령
[NRF R&D Brief 2024-33호]
◈본문
1 조사 분석 기준
○ 대상 : 최근 10년간(2015~2024) 노벨상 수상자 78명(물리학상 28명, 화학상 28명, 생리 의학상 22명)
<표 1> 조사 분석 기준
※ 상기 접근법으로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전체 연구 히스토리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곤란 하나 본 분석에서는 수상 분야별 핵심연구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둠. ※ Scientific Background에 인용된 연구 실적에는 노벨상 수상자뿐만 아니라 다른 과학자 의 실적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인용문헌의 시작과 끝이 A, B가 아닌 경우가 많음. ※ 분석기준은 2019년도 한국연구재단 노벨과학상 종합분석 보고서에 근거하였음. |
* 노벨상 수상과 함께 수상 주제를 설명하는 ‘Scientific Background’를 발표하는데, 해당 문서에 인용된 논문들을 수상에 기여한 주요 논문으로 간주하고 핵심논문이라 지칭
2 수상에 소요된 연구기간
□ 핵심연구 성과 산출기간
ㅇ 핵심연구 성과 산출기간은 평균 20.1년 (물리학>생리의학>화학)
ㅇ (화학) 산업계 파급력이 높은 결과물의 초기 이론연구가 핵심연구로 인정받는 경우가 증가하며 핵심연구 성과 산출기간이 축소된 것으로 추정됨.
ㅇ (생리의학·물리학) 과거 이론연구가 고도화되는 관측장비로 입증되며 핵심연구로 인정 받아 핵심연구 성과 산출기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됨.
□ 핵심연구 완숙에서 노벨상 수상까지 소요기간
ㅇ 핵심연구 완숙에서 노벨상 수상까지의 소요기간은 평균 13.2년 (물리학>화학>생리의학)
ㅇ (물리학) 이론연구 업적이 실험·관측을 통해 입증되어야만 수상으로 이어지므로 핵심 연구 완숙에서 노벨상 수상까지의 소요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추정됨.
ㅇ (화학·생리의학) 과학적 입증이 핵심연구기간에 포함되는 경향이 있어 핵심연구 완숙에서 노벨상 수상까지 소요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추정됨.
□ 노벨상 수상까지 총 소요기간
ㅇ 핵심연구 시작에서 노벨상 수상까지 걸린 총 기간은 평균 33.3년 (물리학>생리의학>화학)
<표 2> 핵심연구 기간과 노벨상 수상까지의 소요기간
<최근 10년간 수상자 중 핵심연구 시작 최저연령 및 최고연령>
ㅇ 물리학상 - (최저연령) 2023년도 수상자 Anne L’Huillier ※ 박사 과정을 2023년도 공동수상자인 Pierre Agostini와 같은 연구그룹에서 보냈으며, 해당 시기(24세)에 발표한 논문이 핵심 연구로 인정받음. - (최고연령) 2017년도 수상자 Barry C. Barish ※ 당해연도 공동수상자와 LIGO에서 공동연구하며 71세에 핵심연구를 시작하여 최근 수상자 중 가장 높음. ㅇ 화학상 - (최저연령) 2024년도 수상자 John M. Jumper ※ 석사 과정 중 작성한 논문이 핵심연구로 인정받았으며, Google DeepMind 입사 후 2024년 공동수상자인 Demis Hassabis와 협력하여 노벨화학상 수상 - (최고연령) 2019년도 수상자 K. Barry Sharpless ※ 58세에 클릭화학 핵심연구를 시작한 K. Barry Sharpless는 81세로 2번째 노벨화학상 수상 ㅇ 생리의학상 - (최저연령) 2020년도 수상자 Harvey J. Alter ※ 1976년도 수상자 Baruch Blumberg와 협력하며 29세에 핵심연구 돌입 - (최고연령) ① 2015년도 수상자 Youyou Tu ※ 중국 내 다양한 중의학연구소와 협력 임상연구를 수행하며 50세에 핵심연구 산출에 돌입 ② 2018년도 수상자 Tasuku Honjo ※ NIH에 Fogarty Scholar를 통해 교류하며 50세에 핵심연구에 돌입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