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23년 글로벌프런티어사업 미래를 향한 9년의 도전
- 등록일2024-12-04
- 조회수484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11-14
-
출처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약바이오컨버젼스#차세대바이오매스#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지능형바이오시스템설계
2023년 글로벌프런티어사업 미래를 향한 9년의 도전
◈ 목차
Part.1
1.글로벌프런티어사업의 탄생
Part.2
1.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2.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3.차세대바이오매스연구단
4.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연구단
5.나노기반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
6.다차원스마트IT융합시스템연구단
...
◈본문
01 글로벌프런티어사업의 태동
1. 사업추진배경
우리나라 과학기술시스템은 과거 선도기술개발사업(‘92), 21C 프런티어사업(’99)과 같은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사업으로 혁신적 진화를 통해 발전해왔으나, 2010년 「21C 프런티어사업」의 종료에 따라 한국을 대표하는 국가 전략 R&D 프로그램이 부재하였다.
또한 기존의 단기적 성과를 추구하는 R&D 시스템으로는 10년 이상의 선행주기를 갖는 원천기술 확보가 불가능하고 선진국 기술 종속이 가속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측되면서, 10년 주기로 발생하는 국가 전략 R&D 시스템 업그레이드의 기회로 국가의 미래성장 잠재력 확충을 위해 상대적으로 투자가 미흡했던 공공 영역, 기초과학 영역, 그리고 시장 실패 영역에서의 R&D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었다.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시스템에 의한 창의적 국가 발전 전략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R&D 시스템을 구축하여, 세계 1위 미래 기술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대표적 국가 R&D 사업이 필요하였으며, 특히 중장기 투자가 필요한 영역, 고위험·고수 익으로 투자위험이 큰 영역, 산업 간 전이 효과(Spill-Over)가 커서 민간이 투자하기 어려운 영역 등 공공재 성격이 강하 면서 대규모 중장기 R&D 투자가 필요하여 정부의 역할이 강하게 요구되는 분야에 대한 R&D 투자를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했다.
정부는 새로운 국가발전계획을 뒷받침할 수 있는 R&D 전략 프로그램을 추진하고자 새로운 국가정책 아젠다 ‘저탄소 녹색 성장 국가 비전’, ‘신 성장동력 개발’ 등을 발표하였으나,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 및 미래 사회 파급성이 큰 분야의 한계 돌파형(Break-through) 기술, 기초·원천 연구를 추진하는 중장기적 국가사업 전략이 필요하였다. FTA 등 시장개방이 가속화되고 기업 간 M&A 및 R&D 단계부터 국제협력이 활발해 지면서 과학기술의 글로벌화 및 개방화 즉, 글로벌 협력 능력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하고 글로벌 수준의 지식 확보가 중요해졌으며, 글로벌화에 따른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개인 창의성보다 집단 창의성(집단지성)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과 글로벌 스탠다드가 중요해졌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추진된 「글로벌프런티어사업」은 앞선 연구개발사업과는 다른 제4세대 미래 창조형 국가 R&D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 1등 기술, 세계 1등 두뇌가 모이는 글로벌거점우수센터(Global Center of Excellence), 즉 우리나라에 뿌리를 내린 과학기술 영토 개척을 통해 미래 국가전략 기술 분야의 글로벌 인재들이 모이는 R&D 거점을 육성하고 해당 분야의 글로벌 허브(Global-Hub)를 육성하고자 하였으며, 사업기간 2020년까지 녹색 성장을 선도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원천기술력을 확보하고, 세계적 수준의 지명도를 가지는 기초·원천 연구거점 네트워크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한국을 대표하는 국가 전략 R&D 프로그램
GLOBAL FRONTIER PLAYER
글로벌프런티어 주체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핵심기술 추적 결과 분석
-
다음글
- 신약모달리티 개발동향 분석 - TPD 1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