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24 생명연구자원 용어집

  • 등록일2024-12-09
  • 조회수570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2024 생명연구자원 용어집


 

◈ 목차

  • 1.생명연구자원 정책 관련 용어

  • 2.생명연구자원(소재,데이터 등) 관련 용어

 

 

◈본문

Part. 1 생명연구자원 정책 관련 용어


ISO 20387

(KS J ISO 20387)

개념

생물자원은행 운영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생명공학기술 분야인 ISO/TC 276 기술위원회를 통해 2018년 발표·제정된 '생물자원은행 운영의 일반요구사항'을 담고있는 국제표준(ISO 20387)으로, 2019년 국내 생명공학 기술심의회(J)를 통하여 KS로 등록(KS J ISO 20387)됨


내용

KS J ISO 20387은 ISO 20387의 국내표준으로, 2022년부터 인정을 추진하였으며 2024년 9월까지 6개 기관이 인정을 획득함. 사람·동물·곰팡이·식물 등 연구개발용 다세포 생물과 미생물 및 유래 생물자원에 적용되며, 일반요구사항(운영 절차 등 일반사항, 공평성, 비밀 유지 등), 기관에 대한 요구사항(법적 책임 및 관리·감독), 자원요구사항(인력, 시설/전용 구역, 장비, 정보시스템 및 지원 서비스), 절차요구사항(생물자원 및 관련 정보 수집, 보존관리 및 관련 정보 수집, 보고, 불만처리 등)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예시

국제 생물자원은행 인정제가 오는 4월 국내에 도입돼 시행된다. 국제표준(ISO 20387)에 따라 생물자원은행의 역량과 서비스 품질, 신뢰도를 평가해 필수 요구사항을 충족한 기관을 국제 공인기관으로 인정하는 내용이다.

※출처 : 한겨레, <'생물자원은행' 국제 인정제 4월 도입...274곳 자원·정보 관리 강화>, 2022.01.14


과학기술기본계획

개념

과학기술 관련 국가 최상위 종합계획. 1960년대부터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수립되어 오다가 2001년 1월 「︎과학기술시본법」︎ 제정 이후부터 법정계획으로 5년마다 수립되어 추진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23~2027)』︎이 시행 중임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주요 내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