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논문 공장(Paper Mill) 관련 이슈와 대응

  • 등록일2024-12-12
  • 조회수736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논문 공장(Paper Mill) 관련 이슈와 대응

[NRF ISSUE REPORT 2024-4호]

 

◈ 목차

  • I.서론

  • II.논문공장(Paper Mills)의 개념

  • III.논문공장 특징과 작동 원리

  • IV.논문공장 이용 규모

  • V.논문공장 이슈에 대한 대응

  • VI.결론 및 시사점

 

◈본문

I. 서론

ㅇ 연구계에 막연한 “Publish or Perish” 연구 환경은 연구자들에게 끊임없이 논문을 출판해 내도록 압박하고 있으며, 이러한 압박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부작용이 소위 약탈적 또는 부실의심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는 연구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며 한국도 예외가 아니어서, 최근 한국연구재단 등에서 부실의심 학술지 예방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ㅇ 그런데 논문 출판의 압박은 연구자(특히 중국과 러시아 연구자)의 논문공장(Paper Mills) 이용 활성화로도 이어져 또 다른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아직 한국은 논문공장의 문제가 심각하지 않아 학계에서 큰 관심을 두고 있지 않지만, 한국도 예외라고 단정하기 어려운 만큼 관련 이슈를 점검하고 예방할 필요가 있다.

ㅇ 약탈적 학술지에 대한 비판과 동시에 이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인터넷에 제공하고 있는 익명의 웹사이트인 predatoryreports.org는 최근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논문공장(Paper Mills)의 개념을 좀 더 확장하여 약탈적 학술공장(Predatory Mills)에 대한 개념을 다음 그림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출처: https://predatoryjournals.org/news/f/what-are-paper-mills-review-mills-and-citation-mills(접속일: 2024년 4월 27일) 

< 약탈적 학술공장의 작동 개념 >

ㅇ predatoryreports.org(2024)는 학술 출판에서 약탈적 학술공장(Predatory mills)은 논문공장(Paper Mills), 리뷰공장(Review Mills), 인용공장(Citations Mills)이라는 세 관행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세 가지 관행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서로 보완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 약탈적 학술공장(Predatory mills)에서 가장 핵심인 논문공장(paper mill)은 질이 낮거나 허위로 학술 논문을 만들어 내고 해당 논문의 저자를 판매하는 일을 맡고 있다. 이렇게 생산하고 판매한 논문이 출판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핵심이 되는 역할은 리뷰공장(review mill)이 맡게 된다. 리뷰공장(review mill)은 논문 출판의 핵심인 동료심사(peer review)를 조작하거나 투고된 논문이 학술지에 쉽게 게재될 수 있도록 논문 심사자에게 뇌물을 제공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인용공장(citation mill)은 논문에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 특정 연구자의 영향력을 인위적으로 올리기 위해 과학 논문의 인용을 조작하는 역할을 하는데, 논문공장에서 출판한 논문을 인용하는 방법으로 해당 연구자의 학문적 영향력, 특히 계량적 영향력을 부풀린다.

- 앞에서 언급한 3가지 공장(Mills)의 출발점은 논문공장(Paper Mill)이기 때문에 본 이슈리포트에서는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ㅇ 논문공장에 대한 영어 표현은 ‘paper mill’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으나, fake paper factory, article factory 등으로도 쓰이고 있다.

ㅇ 논문공장과 관련된 최근 국내외 언론의 보도는 주로 중국발 가짜 논문 이슈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까지 우리나라 연구계에서는 이 이슈에 관한 관심과 경계가 크지 않았다.

ㅇ 그러나, 지난해 Hindawi 출판사 소유 저널에서 약 8,000개의 논문이 무더기로 철회되었고 이들 논문 대부분이 논문공장(paper mill)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한국 연구기관들도 이 문제에서 예외가 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그 이유는 아직은 한국 연구자들의 논문공장 이용이 극소수이기는 하나, 한국 연구기관에 종사하는 외국인(중국, 인도 등) 연구자나 유학생들의 논문공장 이용이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이다.

ㅇ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논문공장 이슈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