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일본 JST, ‘나노기술·재료분야 연구개발 부감 보고서(2024년) 발간

  • 등록일2024-12-18
  • 조회수594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일본 JST, ‘나노기술·재료분야 연구개발 부감 보고서(2024년) 발간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No. 82

 


◈ 목차

  • I.정책 브리핑 : 일본
    일본 JST, '나노기술·재료분야 연구개발
    부감 보고서(2024년) 발간

  • II.나노분야 주요 뉴스(11월)
    01. 국외 동향
    02. 국내 동향

 

 

◈본문

➲︎ 2024년 9월,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JST)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나노기술·재료분야(2024년) 연구 개발 부감 보고서를 발간

•︎ 본 보고서에서는 일본 국내외 사회·경제 및 연구개발 동향과 일본의 과제를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7개의 구분과 29개의 연구개발 영역 중 방향성 검토를 통해 향후 일본이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12개의 연구개발 분야를 확인


➲︎ 조망 대상 분야의 개요

•︎ 나노기술은 첨단 소재·소자의 설계와 기능 발현, 제조에 있어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자리매김

•︎ 나노기술의 흐름과 변천

(전자공학) 트랜지스터의 발명 이후 소형화된 반도체 소지는 나노스케일의 고집적화를 보이고 있으며, 반도체 제조·가공 기술과 분석 평가 기술·재료 기술의 고도화

(생명공학) 나노기술 기반 정보처리장치·광소자의 발달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의 발명, 유전자 편집과 같은 신기술이 창출되었으며, 분자·원자 수준의 측정 기술, 나노스케일 미세 가공, 물질 합성 등의 나노기술이 의료·진단·건강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부감도의 구분

 - 부감도의 7가지 구분에 대해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거시적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한 뒤 나노기술·소재 분야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연구개발 영역 29개 도출



•︎ CRDS는 10가지의 나노 소재·디바이스·기술 사례 중 주목할만한 연구 개발 동향과 정책 동향 제시

1) 축전지 2) 재생에너지에 의한 물질 변환 3) mRNA 나노의약품 4) 생체 분자 시퀀싱 5) 첨단 반도체 6) 뉴로모픽 AI 칩 7) 양자 컴퓨팅 8) 차세대 전력 반도체 9) 데이터 기반 소재 설계 및 제작 10) 저차원 및 토폴로지 소재


•︎ 일본의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 정책 동향

(기본 방침) 일본 내각부는 2021년 4월 '소재 혁신 역량 강화 전략'을 수립하여 일본이 강점을 지닌 재료 분야를 조망하여 2030년의 사회상·산업상을 내다보고 '소재 혁신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구성

(실천 방안) 소재 혁신 역량 강화 전략은 산·학·관 공동 창조를 통한 사회 구현 강화, 데이터 기반 연구개발 기반 정비, 인력 양성 및 공급망 강건화를 통한 지속발전성 확보를 원칙으로 삼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 방안 제시 1) 혁신적 소재 개발 및 신속한 사회 구현 2) 재료 데이터와 제조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연구개발 촉진 3) 국제 경쟁력의 지속적 강화

- (연구 개발 프로젝트) 일본의 연구개발 정책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추진 중인 주요 연구개발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를 조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