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디지털헬스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 등록일2024-12-30
  • 조회수582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명과학

 

 

디지털헬스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본문


초   록

최근 보건의료계의 디지털화로 디지털헬스 리터러시(digital health literacy)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헬 스 리터러시가 무엇인지 개념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 격차를 해소하고 디지털헬스 기 술 및 서비스를 임상적용하기 위해 디지털헬스 리터러시 개념 및 핵심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2011년 1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에서 발표된 연구들을 대상으로 PRISMA-ScR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여 주제범위 문헌 고찰을 실시했다. 새로운 디지털 의료 기술을 포함한 디지털헬스 리터러시 또는 e헬스 리터러시의 개념화를 기술한 연구, 연구 의 주요 주제가 디지털헬스 리터러시의 요인으로 임상적용한 연구, 새로 개발된 디지털헬스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연구와 새로운 디지 털헬스 기술을 포함한 e헬스 리터러시를 포함한 연구를 포함하였다. 최종 26개의 연구에서 다양한 용어와 정의가 사용되었으나, 대부분 e헬스 리터러시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문헌고찰 결과 본 연구에서는 진화된 헬스 리터러시, 디지털 기반 기능적, 상호작용적, 비판적 리터 러시, 그리고 영향을 미치는 내부 또는 외부 요인 세 가지로 범주화하여 요인을 파악하였다. 디지털헬스 리터러시는 사람들이 건강을 유 지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의 사용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추가 연구와 개입이 필요하다.


주요 검색어: 디지털헬스 리터러시; 헬스 리터러시; 디지털헬스; 주제범위 문헌고찰


서      론

디지털헬스는 모바일헬스, 개인 건강 기록(personal health record), 웨어러블 기기, 원격 의료, 병원 IT 및 의료 기술 등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개념이다. 디지털헬스 기술은 질병 예방, 환자 상태 모니터링 및 만성질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여 의료의 질을 개선하고 의료비용을 낮추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등

환자 중심의 디지털헬스 기술은 보건 환경과 의료 체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렇듯 다양한 디지털 기술로 사람들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기회가 많아지면서, 건강 문제를 예방

하고 건강과 형평성을 증진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 즉 디지털헬스 리터러시(digitalhealth literacy)가 중요해졌다. 

 그러나 임상 내 건강관리, 치료 등에 있어 디지털헬스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에 대한 합의가 부족한 실정으로 새롭게 정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금껏 대부분의 연구 또는 기관에서는 디지털헬스 리터러시를  e헬스 리터러시(eHealth lit-eracy)와 같게 사용해 왔다. e헬스 리터러시라는 용어 는 2001년부터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능력과 기술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정의한 e헬스는 정보 통신 기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사용에 초점을 두고 있어 더 진화된 모바일 기술이나 서비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반면, 건강 측면 밖에서는 급속도로 변화된 디지털화에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정보 및 통신을 사용하여 정보를 찾고, 평가, 생성, 전달하는 능력으로 인지적 능력과 기술적 능력이 모두 필요함"으로 정의한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은 디지털헬스 리터러시와 개념 적으로 유사하지만, 건강 관련 역량은 일부에만 국한되고 있 다[13]. 따라서 유사한 세 개념의 차이는 건강 및 의료 지원을 개선하는데 집중하느냐, 혹은 어떤 기술을 사용하느냐에 기반한다. 그 예로 최근 디지털헬스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연구에서는 건강(Health 2.4)의 확장된 개념으로 성과 기반 항목 및 광범위한 기술을 포함하였다, 다만, 기술적 역량에 서 컴퓨터와 인터넷 브라우저를 중심으로 포함하였다.

 디지털헬스는 만성질환을 포함해 건강관리를 위한 임상 적용에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다룰 수 있 는 역량에 따른 건강 격차가 생길 수 있으므로, 취약한 집단을 찾아 실현 및 확장할 수 있는 중재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 격차 해소 및 디지털의 임상 적용 을 목표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디지털헬스 리터러시의 개념을 파악하고 새롭게 정의하고자 한다.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디지털헬스 리터러시는 모바일 헬스, 개인 건강 기록, 웨어 러블 기기, 원격 의료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 및 서비스를 활 용해 건강정보를 찾고, 이해, 평가하고, 건강 문제를 해결하 는 능력으로, e헬스 리터러시와 자주 혼용된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본 연구는 디지털헬스 리터러시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로 일 관성이 부족하며, 광범위한 디지털 기술 및 서비스와 관련된 역량을 포함하지 못하는 한계를 발견했다. 또한 진화된 헬스 리터러시와 디지털 기능적, 상호작용적, 비판적 리터러시를 파악하여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③ 시사점은?

디지털헬스 리터러시는  건강 정보의 접근과 이해를 증진하 고, 건강 결정을 돕는 중요한 역량으로, 중재 및 교육의 적용 등을 위해 개념의 일관되고 포괄적인 정립이 필요함을 시사 점을 제공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