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2024 노벨 과학상, AI의 혁신적 잠재력 부각 : 2024 노벨 생리의학상 마이크로RNA, 분자생물학이 발견한 작지만 강한 RNA
- 등록일2025-01-03
- 조회수575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4-12-01
-
출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노벨과학상#AI#RNA#분자생물학
2024 노벨 과학상, AI의 혁신적 잠재력 부각 : 2024 노벨 생리의학상 마이크로RNA, 분자생물학이 발견한 작지만 강한 RNA
과학과 기술 [2024년 11월호 vol.666]
◈본문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여러 특징 중에서 유전자 조절은 가장 중요한 현상이다. 인간은 부모로부터 각각 30억 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진 DNA를 물려받는다. 우리 몸은 하나의 수정란이 끊임없이 분열해 만들어졌으며, 성인에 이르러서는 수십조 개의 세포를 갖게 된다. 하지만 이들 세포 내에는 모두 같은 DNA 서열이 들어있다. 결국 다양한 세포 내에서 동일한 DNA 서열로 서로 다른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유전자 조절 과정은 인간을 비롯한 다세포 생명체의 가장 핵심적인 생명 현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췌장에서는 인슐린 단백질을, 소장에서는 소화 효소들을, 망막 세포에서는 빛을 인지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등, 이러한 다양한 유전자 조절 과정은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이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 물질 중 하나인 마이크로RNA(microRNA, miRNA)를 최초로 발견한 빅터 엠브로스(Victor Ambros)와 게리 루브컨(Gary Ruvkun)에게 수여되었다. 이들이 발견한 마이크로RNA는 유전자 발현 과정을 조절하는 새로운 종류의 유전 물질로, 추후 마이크로RNA가 유전자 번역 과정을 억제하고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 시스템을 정교하게 조절한다는 것이 규명되면서, 이는 생명과학에서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디지털 기술(인터넷, AI 등)이 기억력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2025-04-22
- BioINwatch 어떻게 하면 단백질 구조 만큼 RNA 구조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까? 2025-04-03
- BioINwatch AI 기반 De novo 단백질 설계를 통한 항독소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 2025-03-11
- BioINwatch 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2025-02-14
- BioINwatch AI 가상 실험실(AI virtual lab)에서 개발한 나노바디 2025-01-07
동향